유튜브 주식방송 시청이 20대 투자자의 주식 투자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플루언서와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s interest in stock markets is growing recently in Korea, more investors in their twenties ar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personal broadcasting channels on YouTube. This study explores how watching the stock market channels on YouTube influences watching behaviors and investment intentions....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11) Vol. 21; no. 11; pp. 121 - 134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4877 2508-6723  | 
| DOI | 10.5392/JKCA.2021.21.11.121 | 
Cover
| Summary: | As interest in stock markets is growing recently in Korea, more investors in their twenties ar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personal broadcasting channels on YouTube. This study explores how watching the stock market channels on YouTube influences watching behaviors and investment inten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survey data from 219 adults in the twenties revealed that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and para-social interaction with the YouTube influencers affected continued viewing intention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effect of identification with the influencers on viewing satisfaction was more prominent when identification mediated the effect of para-social interaction on viewing satisfac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주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유튜브의 개인방송에서 제공되는 주식 관련 정보를 활용하는 20대 투자자가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 이용자들이 유튜브 개인방송에 등장하는 인플루언서에 대해 인식하는 동일시와 신뢰성이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시청 만족도와 지속 시청 의도 그리고 실제 주식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수행 후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지속 시청 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일시는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매개하였을 때 시청 만족에 더 강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실제 투자 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방송 시청에 따라 투자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속 시청 의도와 시청 만족에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02539893580 | 
| ISSN: | 1598-4877 2508-6723  | 
| DOI: | 10.5392/JKCA.2021.21.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