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혀와 전자코 분석을 이용한 국내산 무 품종의 감각특성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osensory characteristics of radish samples. Brix results in Matdong-radish showed the highest value (1.5±0.1%), and Mansahyungtong-radish showed the lowest. In terms of salinity, Mansahyungtong-radish had the highest value (1.2±0.1%), an...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3; no. 4; pp. 375 - 381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과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67-6293 2383-9635 |
Cover
Summar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osensory characteristics of radish samples. Brix results in Matdong-radish showed the highest value (1.5±0.1%), and Mansahyungtong-radish showed the lowest. In terms of salinity, Mansahyungtong-radish had the highest value (1.2±0.1%),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except Mansahyungtong-radish. In pH analysis, Cheongjunggowon-radish had the highest value at 6.69±0.02. The pH in Mansahyungtong-radish showed the lowest value at 6.10±0.01. In the electronic tongue, sourness was high in the Seoho-radish (8.2), and saltiness was high in the Matdong-radish (8.1). Umami was high in the Seoho-radish (8.3), and sweetness was high in the Matdong-radish (8.1). In the electronic nose, sulfur-containing compounds were high in all the samples. Methanethiol, which represented the odor description of cabbage, garlic, and sulfurous, was abundant in sulfur-containing compounds. Multivariate analysis using physicochemical and chemosensory properties can be used as a database for the food industry. 본 연구는 다양한 국내에서 재배되는 무의 품종 차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관찰하였고, 이를 위해 당도, 염도, pH, 전자혀 및 전자코 분석을 진행하였다. 네 가지 품종 중 맛동무가 가장 높은 당도를 나타내었고, 만사형통무가 가장 낮은 당도를 나타내었다. 염도의 경우 맛동무가 가장 높은 염도를 나타내었고, 맛동무를 제외한 나머지 시료들의 경우 품종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앗다. pH의 경우 서호무가 가장 높은 pH를 나타내었고, 청정고원무와 만사형통무가 가장 낮은 pH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자혀 센서를 통해 확인된 맛 성분의 결과는 서호무와 청정고원무가 신맛과 관련된 센서값이 대체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만사형통무와 맛동무가 대체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짠맛과 관련된 센서의 결과는 만사형통무와 맛동무가 높은 센서 값을 나타내었고, 서호무와 청정고원무가 대체로 낮은 센서 값을 나타내었다. 감칠맛과 관련된 센서는 서호무와 청정고원무가 대체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만사형통무와 맛동무가 대체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단맛과 관련된 센서 결과는 서호무와 청정고원무가 낮은 센서 값을 나타내었고, 만사형통무와 맛동무가 낮은 센서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전자코를 이용하여 휘발성 화합물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모든 품종의 무에서 휘발성 함황화합물인 methanthio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이용하여 시료들의 패턴을 주성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 청정고원무는 휘발성 aldehydes류, acids와 esters류, 그리고 alcohols류 화합물이 variables로 확인되었다. 만사형통무는 전자혀의 짠맛과 관련된 센서, 단맛과 관련된 센서, 그리고 휘발성 hydrocarbons류가 variables로 확인되었다. 맛동무는 염도의 결과에 의해 다른 시료들과 구분되는 위치를 나타내었고, 서호무는 휘발성 ketones류 화합물, 신맛과 관련된 센서, 감칠맛과 관련된 센서, 그리고 pH가 variables로 확인되었다. 앞선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의 결과를 이용하여 시료 간 차이를 군집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만사형통무와 맛동무가 시료 간 상대적으로 낮은 차이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서호무와 청정고원무가 시료 간 상대적으로 낮은 차이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품종별 무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검토 및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24462467970 |
ISSN: | 0367-6293 2383-96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