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빈 함량에 따른 쌀 압출성형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cao bean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 Rice-based cacao beans (0, 20, 40, 60%) were extruded at a die temperature of $130^{\circ}C$, screw speed of 200 rpm, and moisture content of 25%. As the content of cac...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6; no. 11; pp. 1327 - 1335
Main Authors 박주연(Ju-Yeon Park), 김영호(Young-Ho Kim), 류기형(Gi-Hyung Ry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cao bean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 Rice-based cacao beans (0, 20, 40, 60%) were extruded at a die temperature of $130^{\circ}C$, screw speed of 200 rpm, and moisture content of 25%. As the content of cacao beans increased from 20% to 60%, expansion index decreased, while piece density and specific length increased. The water soluble index and water absorption index of the extrudate increased through extrusion cooking. Lightness decreased as cacao bean content increased while redness increased. As the content of cacao beans increased, paste viscosity decreased. Cold peak viscosity was observed in all extrudates of raw roasted cacao beans.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upon extrusion and cacao bean addition. As content of cacao beans increased, non-roasted cacao beans ha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s than roasted cacao beans. This study showed that addition of cacao beans to extruded rice snack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본 실험은 카카오 빈의 함량(0, 20, 40, 60%)을 달리하여 쌀가루와 압출성형물을 제조하여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공정 조건은 수분 함량 25%, 스크루 회전 속도 200 rpm, 사출구온도 $130^{\circ}C$로 조절하였다. 팽화율은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밀도와 비길이, 겉보기 탄성계수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파괴력은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는 압출성형 공정 후 모두 증가하였다. 카카오 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무처리구(RAW)에서 카카오 빈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압출성형 공정 후 카카오 빈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차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페이스트 점도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조건에서 감소하였으며, 압출성형을 한 모든 실험군과 RAW의 roasted 카카오빈(RC) 첨가군에서 저온최고점도(CPV)를 나타내어 낮은 온도에서도 점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non-roasted 카카오 빈(NRC) 첨가군이 RC 첨가군보다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압출성형한 NRC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카카오 빈 첨가가 쌀 카카오의 팽화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카카오 빈의 총 페놀 함량은 로스팅과 압출성형에 의해 감소하였지만,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로스팅을 하지 않고 압출성형 하였을 때 증가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34964189876
ISSN:1226-3311
2288-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