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코드 및 스마트 글라스 활용 개인 정보 보호 블록체인 택배 시스템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is getting attention more than ever. However, the package delivery system has yet to keep up with the privacy movement. The waybill attached to the package contains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recipient in text form, which is exposed to anyone wi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4; no. 5; pp. 630 - 637
Main Authors 최승주(Seung-Joo Choi), 심민주(Min-Joo Sim), 서화정(Hwa-Jeong Se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20.24.5.63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importance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is getting attention more than ever. However, the package delivery system has yet to keep up with the privacy movement. The waybill attached to the package contains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recipient in text form, which is exposed to anyone with visible eyesight. In order to remedy the problem,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contents of the waybill should be replaced by QR code instead of plain text which can be read and accessed through the human eye.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indiscriminate access to the contents of the QR code, the access is only permitted using smart glasses registered in the delivery blockchain network system. Lastly, to prevent leaking the contents of the QR code from the person who has access to the registered smart glasses, an inside job, the access record is recorded on the blockchain.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택배 시스템은 이러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움직임을 아직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택배 상자에는 수취인에 대한 개인정보가 적혀있는 운송장이 붙어있어 누구나 손쉽게 개인 정보를 탈취해 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운송장의 내용을 사람이 눈으로 읽고 접근할 수 있는 글자가 아닌 QR 코드로 대처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해당 QR 코드의 내용에 대한 무분별한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내용에 대한 접근은 택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스마트 글라스만을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접근 가능한 스마트 글라스를 보유한 사람으로부터 해당 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접근 기록을 블록체인에 기록할 것을 제안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05653789849
http://jkiice.org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20.24.5.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