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황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C2C12 Myoblasts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Curcuma longa L. (CLW) on oxidative stress-induced C2C12 myoblasts. Antioxidant activities of CLW were evaluated base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6; no. 11; pp. 1408 - 1413
Main Authors 정혜진(Hye-Jin Jeong), 김신태(Shintae Kim), 박정진(Jeongjin Park), 김기홍(Ki Hong Kim), 김경미(Kyungmi Kim), 전우진(Woojin J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Curcuma longa L. (CLW) on oxidative stress-induced C2C12 myoblasts. Antioxidant activities of CLW were evaluated based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Protective effects of CLW on oxidative stress-induced C2C12 myoblasts were determined based on cytotoxicity, $H_2O_2$ protective activity, an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presented by $SC_{50}$ were $188.5{\pm}3.0{\mu}g/mL$ and $92.0{\pm}0.9{\mu}g/mL$, respectively. Using C2C12 myoblasts, CLW treatment increased cell viability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death. Further, CLW treatment reduced the intracellular ROS level in cells treated with $H_2O_2$.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W might have the capability to protect oxidative stress-induced C2C12 myoblasts. 본 연구에서는 강황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474.4{\pm}31.9mg$ GAE/100 g 및 $892.1{\pm}21.2mg$ CE/100 g으로 나타났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은 DPPH 및 ABTS 라디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SC_{50}$ 값으로 계산하였을 때 각각 $188.5{\pm}3.0{\mu}g/mL$ 및 $92.0{\pm}0.9{\mu}g/mL$로 나타났다. 이러한 라디칼 소거능에는 강황 열수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C2C12 myoblast에 강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1,000{\mu}g/mL$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안전성이 확인된 $500{\mu}g/mL$ 농도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H_2O_2$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강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보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_2O_2$ 처리 후 DCF-DA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수준을 측정한 결과 강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 내 ROS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강황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C2C12 myoblast에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34964189914
ISSN:1226-3311
2288-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