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
Startup accelerators have emerged as new investment entities that help early startups, which are not easy to survive continuously due to lack of funds,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nd experiences. As their positive performance on early startups and the ecosystem has been proven, the number of ea...
Saved in:
| Published in | 벤처창업연구 Vol. 15; no. 6; pp. 27 - 42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975-7557 2671-9509 |
Cover
| Summary: | Startup accelerators have emerged as new investment entities that help early startups, which are not easy to survive continuously due to lack of funds,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nd experiences. As their positive performance on early startups and the ecosystem has been proven, the number of early startups which want to receive their investment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y are vaguely preparing to attract accelerators' investment because they do not have any information on what factors the accelerators consider important. In addition, researches on startup accelerators are also at an early level, so there are no remarkable prior studies on factors that decide on invest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startups prepare for investment attraction by looking at what factors are important for accelerators to invest, an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academia. In the preceding study, we derived five upper level categories, 26 lower level accelerators' investment determinants through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method, secondary data analysis, observation on US accelerators and in-depth interviews. In this study, we want to derive important implications by deriving priorities of the accelerators' investment determinants. Therefore, we used AHP that are evaluated as the suitable methodology for deriving importance and priorit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ccelerators value market-related factors most. This means that startups that are subject to investment by accelerators are early-stage startups, and many companies have not fully developed their products or services. Therefore, market-related factors that can be evaluated objectively seem to be more important than products (or services) that are still ambiguous. Next,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internal workforce of startups are more important. Since accelerators want to develop their businesses together with start-ups and team members through mentoring, ease of collaboration with them is very important, which seems to be important. The overall priority analysis results of the 26 investment determinants show that 'customer needs' and 'founders and team members' understanding of customers and markets' (0.62) are important and high priority factors. The results also show that startup accelerators consider the customer-centered perspective very important. And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startups, the most prominent factor was the founder's openness and execution ability.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accelerators consider the ease of collaboration with these startups very important. 창업초기 기업들은 자금과 사업화 역량, 경험 부족 등으로 지속적인 생존이 쉽지 않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는 이러한 창업초기기업의 문제 해결을 돕고 해당 기업의 지분을 얻음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새로운 형태의 투자주체로서 등장하였다. 이들의 창업초기기업과 창업생태계에 미치는 긍정적인 성과들이 입증됨에 따라 이들의 투자를 필요로 하는 초기기업들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연구 또한 초기수준에 머물고 있어 투자결정요인 등에 대한 괄목할 만한 선행연구가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스타트업들은 액셀러레이터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 막연하게 투자유치를 준비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들이 투자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스타트업들의 투자유치 준비과정을 돕고, 학계에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선 연구에서 정성적 메타합성법, 2차 관련자료, 미국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관찰 및 심층인터뷰 등을 통해 5개 상위 카테고리, 26개의 하위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으며, 이에 중요도와 우선순위 도출에 적합한 방법론으로 평가받고 있는 분석적 계층화 기법을 활용하였다. 카테고리 별 분석 결과 액셀러레이터들은 시장 및 고객 관련 요인들(Market related)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스타트업 내부인력 관련 요인(Human related)요인들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6개의 하위투자결정요인들의 전체우선순위 분석 결과에서는 '고객의 니즈 정도'와 '창업자와 팀원들의 고객과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중요도 및 우선순위가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들이 고객중심 관점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창업자 관련 요인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요인은 '창업자의 유연한 사고와 실행력'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의 유연한 사고를 액셀러레이터 등 전문가의 의견 등을 잘 청취하고 적절하게 반영하는 역량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액셀러레이터들은 이러한 스타트업과의 협업용이성 등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창업 초기기업은 기업의 생존과 액셀러레이터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 어떤 준비를 선행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더불어 액셀러레이터들은 어떤 요인에 우선순위를 두고 투자대상 스타트업을 선정해야 하는지 등의 준거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정책입안자들 또한 이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스타트업 선정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 대비 가장 많은 투자결정요인을 다룸으로써 누락되는 것이 없도록 하였으며, 이의 결과는 후속 연구들에게 좋은 발판이 되리라 생각한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07861263637 |
| ISSN: | 1975-7557 2671-9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