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추출 공정을 이용한 아가위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증진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Extracts were SE (stirrer extraction; 70% ethanol extract at $25^{\circ}C$, control), RE (reflux extraction at $60^{\circ}C$), and USE (ultrasonificat...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6; no. 7; pp. 891 - 89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Summary: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fruit by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Extracts were SE (stirrer extraction; 70% ethanol extract at $25^{\circ}C$, control), RE (reflux extraction at $60^{\circ}C$), and USE (ultrasonification for 3 h at $60^{\circ}C$ with 70% ethanol), respectively. Compared to S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USE increased to 104.03% and 302.4%, respectively. US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1.0 mg/mL concentration for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ur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from the ultrasonification process have relatively high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hat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could be considered as a candidate functional antioxidant agents.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for chemical and biological studies on natural plants and its products. 본 연구에서는 아가위나무 열매를 초음파 공정과 기존의 추출 공정을 비교하여 항산화 증진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초음파 공정이 기존의 추출공정과 비교해 추출수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많은 유용활성 성분이 용출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총 페놀 함량에서는 상온교반추출물보다 초음파 공정을 거친 추출물이 약 2배 정도의 함량 증가를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에서도 함량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음파 고정을 이용해 활성물질들의 파괴없이 초음파의 높은 에너지로 인하여 더 많은 활성물질들을 추출하여 효능의 증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실제적인 천연물 추출공정에서도 유용성분의 초음파추출은 많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해야 할 것이며, frequency(kHz)와 intensity(Watt)의 조절, 시간(min)과 온도($^{\circ}C$) 그리고 시료의 형태에 따라 추출효율 및 유용성분의 영향은 다양한 변수에 의하여 편차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된 아가위나무 열매의 추출가공 연구는 식품 및 소재 개발 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기능성 소재 연구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23840541511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