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외환경에서의 e-레저 모바일 AR에 대한 연구

최근, e-스포츠, e-게임을 포함하는 e-레저를 위한 새로운 콘텐츠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로 사람을 추적 대상으로 하는 e-레저용 모바일 AR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e-레저 모바일 AR은 실외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의 추적 성능이 중요하다. 그러나, snow, snapchat 등과 같은 기존 모바일 AR은 원거리에서 추적 성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외환경에서의 e-레저 모바일 AR을 제안한다. 제안된 e-레저 모바일 AR은 색상 마커 및 인체비를 이용하여 실외환경(원거리)에서 머리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9; no. 6; pp. 1027 - 1032
Main Authors 고준호(Junho Ko), 최유진(Yu Jin Choi), 이헌주(Hun Joo Lee), 김윤상(Yoon Sa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18.19.6.102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 e-스포츠, e-게임을 포함하는 e-레저를 위한 새로운 콘텐츠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로 사람을 추적 대상으로 하는 e-레저용 모바일 AR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e-레저 모바일 AR은 실외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의 추적 성능이 중요하다. 그러나, snow, snapchat 등과 같은 기존 모바일 AR은 원거리에서 추적 성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외환경에서의 e-레저 모바일 AR을 제안한다. 제안된 e-레저 모바일 AR은 색상 마커 및 인체비를 이용하여 실외환경(원거리)에서 머리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에 가상의 객체를 증강한다. 제안된 e-레저 모바일 AR의 성능은 추적 성능 및 연산 시간의 측정 실험을 통해 검토되었다. Recently, new content for e-leisure, including e-sports and e-games, has become necessary. To meet this requirement, e-leisure mobile AR studies which track human are underway. The tracking performance at long distances is important because e-leisure mobile AR is used in outdoor environments. However, conventional mobile AR applications such as SNOW and Snapchat have the disadvantage of low tracking performance at long distances. Therefore, we propose an e-leisure mobile AR in outdoor environments. The proposed e-leisure mobile AR can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head in outdoor environments at long distances by using color markers and the human body ratio, and then augment a virtual object at the estimated posi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e-leisure mobile AR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tracking performance and processing tim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18.19.6.1027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18.19.6.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