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만 및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 : 2013 ~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nutrient intake and the prevalences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eating alone behavior in middle-aged men and women. Methods: The data from the 2013 ~ 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A t...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2; no. 5; pp. 435 - 448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영양학회
2019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288-3886 2288-3959 |
| DOI | 10.4163/jnh.2019.52.5.435 |
Cover
| Summary: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nutrient intake and the prevalences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eating alone behavior in middle-aged men and women. Methods: The data from the 2013 ~ 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A total of 7,728 adults (3,404 male, 4,324 female) aged 40 ~ 64 years old were include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eating alone per day (0, 1 ~ 2, and 3 times/day). Dietary data were collected by a 1-day 24-h recall. The nutrient intak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the eating alone behavior with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djusting for the related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In men, eating alone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a lower intake of potassium (p-for-trend = 0.048) and lower intake of calories from protein (p-for-trend = 0.04). In women, the proportion of subjects consuming energy less than 75%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p = 0.001) and less than the estimated adequate requirement of riboflavin (p < 0.001)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eating alone behavior. The eating alone behavi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metabolic syndrome (p-for-trend = 0.033), increased blood pressure (p-for-trend < 0.001), and increased waist circumference (p-for-trend = 0.004). On the other hand, in women, however, the eating alone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s of developing obesity (p-for-trend = 0.02).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eating alone behavior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wome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ating alone behavior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Korean men. 현대 사회에서 혼자 식사하는 사람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혼자 식사하는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 및 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 ~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40 ~ 64세 중년층 7,728명을 대상으로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각 영양소의 섭취수준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를 남 여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년 남녀에서 혼자 식사하는 식행동에 따른 영양 및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하루 1회 이상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혼자 식사하는 군은 함께 식사하는 군에 비해 낮은 소득과 교육수준, 높은 비경제활동과 흡연 비율을 나타냈다.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남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단백질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과 칼륨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지방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여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은 그룹에서 에너지를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과 리보플라빈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남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에 따른 BMI와 대사증후군 구성지표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라 평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공복혈당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교란변수를 보정하여 대사증후군과 구성지표에 대한 오즈비를 비교한 결과,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라 대사증후군과 복부비만 및 혈압 상승의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혈당 상승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반대로, 여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룹별 평균 BMI가 감소하였으며, 보정 후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구성지표에 대한 위험도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영양 및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름을 보였으며, 중년 남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 증가와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에게서 칼륨과 단백질 섭취가 감소하였음을 고려하여, 혼자 식사하는 중년 남성들에 적합한 영양 관리와 식사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932569394554 https://e-jnh.org/DOIx.php?id=10.4163/jnh.2019.52.5.435 |
| ISSN: | 2288-3886 2288-3959 |
| DOI: | 10.4163/jnh.2019.52.5.4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