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The present study interviewed Eight novice supervisors (i.e., counselling psychologists with fewer than 5 years of experience) to investigate the need for formal supervision train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and the result found four main domains, 12 sub-d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2) Vol. 17; no. 2; pp. 573 - 594
Main Authors 김명화(Myong-Hwa Kim), 홍혜영(Hye-Young H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7.17.02.57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resent study interviewed Eight novice supervisors (i.e., counselling psychologists with fewer than 5 years of experience) to investigate the need for formal supervision train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and the result found four main domains, 12 sub-domains, and 33 categorie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novice supervisors believe their own supervisors and expert supervisors have a great understanding of individual counselling cases, and that the role of a supervisor is to help supervisees' ability to understand each case better. Novice supervisors generally take their own supervisors as their role models, although most of them did not receive formal training from their own supervisors. Novice supervisors seek advice on supervision from their colleagues or their own supervisors but still find supervising difficult. They also believe there is a great need for clearly set guidelines or a manual on providing effective supervision. 본 연구는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국상담심리학회의 상담심리사 1급 자격을 취득한 5년 미만의 수퍼바이저 8명을 인터뷰하였다. 합의적 질적 연구(CQR)를 통하여 의미를 도출한 결과 '수퍼바이저로서 갖는 역할기대'와 '수퍼비전 교육받은 경험', '수퍼비전 실시과정에서 수퍼바이저로서 느끼는 경험', '수퍼바이저로서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총 4개의 영역과 12개의 하위영역, 33개의 범주로 최종 구성되었다. 첫째, 초심수퍼바이저들은, 대가들의 모습을 따뜻하고 사례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다고 보았고, 자신이 생각하는 수퍼바이저의 역할은 사례이해능력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대답하였다. 둘째, 초심 수퍼바이저들은 자신의 수퍼바이저나 대가들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퍼비전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사는 높았으나, 실제로 수퍼비전 교육을 받은 경험은 많지 않았다. 셋째, 전문가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꼼꼼하게 공부하고 준비를 하지만, 수퍼바이지에게 전달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동료 수퍼비전이나 전문가에게 자문구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었고, 여전히 스스로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수퍼바이저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기 돌봄이 필요하고, 수퍼비전에 대한 교육과 수퍼비전의 가이드 및 매뉴얼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에 대한 제언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12835102939
G704-001475.2017.17.2.027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7.17.02.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