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및 콩 발효 균주선발과 이를 적용한 조미용 저염된장의 평가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ai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used to ferment a mixture of rice and soybeans to manufacture low-salt doenjang for flavoring. The soybean and rice mixture was fermented using three selected strains of Aa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p. The changes in quality...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4; no. 1; pp. 103 - 108
Main Authors 조승화(Seung Wha Jo), 임은정(Eun Jung Yim), 강현진(Hyeon Jin Kang), 박슬기(Seul Ki Park), 정도연(Do Youn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67-6293
2383-963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ai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used to ferment a mixture of rice and soybeans to manufacture low-salt doenjang for flavoring. The soybean and rice mixture was fermented using three selected strains of Aa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p. The changes in quality of the fermented products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aging period. Therefore, the strain and a suitable aging period were seleted based on the increases in AN,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The fermented products were prepared and mixed, using the selected or commercially available strains (the sample and control, respectively), to create low-salt doenjang. Following this,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he sample had a higher content of taste-related ingredients(free amino acid, nucleic acid-related substances) than the control. Using the selected strain to ferment a rice and soybean mixture will thus be expected to enhance the flavor of industrially produced seasoned doenjang. 본 연구에서는 조미용 저염된장을 개발하기 위해 정미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고초균과 황국균을 이용하여 쌀 및 콩 발효액을 제조하고 숙성시키면서 이에 따른 장류 적용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조미용 저염된장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선별된 균주 3종을 이용하여 쌀과 콩의 발효물을 제조하였고 숙성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쌀, 콩 발효물 모두 숙성기간에 따라 pH는 감소하고 적정산도, AN, 총당 및 환원당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도와 수분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 콩, 쌀발효물의 발효 균주 및 숙성기간은 AN, 총당, 환원당 증가를 보인 균주 및 기간으로 선정하였다(콩: SRCM102487 및 3주, 쌀: SRCM104466 및 6일). 숙성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발된 균주와 대조구의 균주를 이용하여 각 발효물을 제조, 혼합한 후 조미저염된장을 제조한 후 특성을 비교하였다.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인 pH와 적정산도, 염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은 선발된 균주를 이용한 된장이 더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선발된 균주를 이용한 된장의 유기산은 citric acid와 lactic acid가 주요 유기산으로, 유리당은 glucose가 주요 유리당으로 나타났다. 된장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선발된 균주를 이용한 된장이 지미, 고미, 감미를 나타내는 아미노산 성분의 함량이 더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핵산관련물질은 hypoxanthine, inosine, IMP, AMP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선발된 균주를 이용한 된장이 IMP를 제외하고 나머지 3가지 물질 중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쌀과 콩을 선발된 균주로 발효하여 이를 된장에 적용하였을 때 다양한 아미노산과 핵산물질로 인해 된장의 풍미를 증진시키고 산업적으로 적용가능한 조미저염된장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10261450697
ISSN:0367-6293
2383-9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