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의 지역사회기반 재활의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the effect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on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ICF factors. This study used PubMed MEDLINE, Cochrane CENTRAL database from January 2009 to January 2019. As a resul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7) Vol. 19; no. 7; pp. 628 - 637
Main Authors 김은주(EunJoo Kim), 박영주(YoungJu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7.62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the effect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on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ICF factors. This study used PubMed MEDLINE, Cochrane CENTRAL database from January 2009 to January 2019. As a result, a total of 5 studies were selected. The ICF factor effect size of the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was 4.77 for physical function and structure, and 6.17 for activity and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effective on physical function, structur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ICF 영역으로 분류하여 지역사회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해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국내 외에 게재된 연구로 PubMed MEDLINE, Cochrane CENTRAL, Google Scholar, 한국학술지인용색인, RISS, 국회도서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선정논문의 실험군, 대조군의 대상자 수, 평균, 표준 편차를 사용하여 통계적 이질성, 효과 크기, 출판 편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총 5편 연구가 선정되었고, 대상자는 실험군 144명, 대조군 152명 총 296명이었다. 지역 사회 재활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8.83이였고, ICF 영역별 효과 크기는 신체기능 및 구조에서는 4.77, 활동과 참여에서는 6.17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도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의 지역사회기반 재활의 신체기능 및 구조, 활동과 참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22441756946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9.19.07.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