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나타요해〉에서의 롱 테이크 장면 연구 : 감정반응을 중심으로

Whether an excellent animation film has vitality and charm largely depends on the aesthetic and emotional experience it brings to the audience, as well as the flexible use of the medium-long shot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animated film, especially the long take shot. It can then realize the real...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1) Vol. 22; no. 1; pp. 126 - 137
Main Authors 우잉(Wu Ying), 장욱상(Wook-Sang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2.22.01.12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Whether an excellent animation film has vitality and charm largely depends on the aesthetic and emotional experience it brings to the audience, as well as the flexible use of the medium-long shot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animated film, especially the long take shot. It can then realize the real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animated film and the audience, stimulate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achieve emotional resonance and sublimation. This thesi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divisions of moving long-shot composition and static composition and explores the diversified theories of animated emotional experience. Additionally, combined with the actual application analysis in the excellent animation feature "Prince Nezha's Triumph Against Dragon King", this thesis discussed the changes in the emotional experience created by the long take shots in the animation. This thesis finally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 shots in animation and the emotional experience of the animation creators, and how long shots stimulate viewers' aesthetic and emotional experience. In this way, it also provides a reference for future animation theory research, and finally creates animation works that bring high-quality emotional experience to the audience. 우수한 애니메이션 영화의 생명력과 매력은 관객에게 제공되는 미학적, 정서적 공감대 형성과 장면의 구도, 그 중에서도 어떻게 롱 테이크샷을 유연하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이를 통해 애니메이션과 관객 사이에 진정한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에 사용되는 롱 테이크의 정적 레이아웃과 동적 레이아웃의 화면 특징 및 차이점을 연구하고, 관객이 애니메이션을 관람한 후에 느끼는 감정에 대해 연구한 감정반응 이론의 다양한 사례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편 애니메이션 '나타요해'의 장면 분석과 함께 애니메이션을 감상한 관객이 만들어내는 감정의 변화를 살펴본다. 논문의 말미에는 애니메이션에서 롱 테이크와 애니메이션 제작자 간 정서적 체험 관계와 애니메이션 롱 테이크가 어떻게 관객의 미적 감각과 감정 체험을 자극하는지 정리했다. 이를 통해 제작자들이 향후 애니메이션 연구에 참고가 되어 관객에게 양질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08933638672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2.22.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