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대학 총장 인사말의 의미론적 구조: 대구 ·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This study examined a semantic relationship expressed in college presidents' welcome greetings in order to explore the promotion strategies and future direction of universities in Daegu & Gyeongbuk provinces in South Korea. Greetings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websites as of September,...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9) Vol. 21; no. 9; pp. 24 - 3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9.024 |
Cover
Summary: | This study examined a semantic relationship expressed in college presidents' welcome greetings in order to explore the promotion strategies and future direction of universities in Daegu & Gyeongbuk provinces in South Korea. Greetings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websites as of September, 2020. According to word frequency analysis, "everyone," "welcome," and "visiting" were mostly used in the headlines. In the body texts, "college" and "education" were frequently paired. While the two- & three-year colleges focus on industrial and technical capabilities, four-year universities tend to emphasize educational excellence and academic research performance.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understands the direction that universitie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put forward amid the decreasing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대학 총장 인사말에 나타난 의미론적 관계와 대학의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2020년 9월 기준, 각 대학 웹사이트에서 인사말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머리말엔 긍정적인 인상의 '여러분', '환영하다', '방문하다' 등이 자주 사용되었고 본문엔 '대학'과 '교육'이 주요 단어 쌍을 이뤘다. 연결망 중심성 분석에는 '세계'와 '글로벌'이 높은 값을 보였다. 텍스트 내에 존재하는 의미 구조의 하위 차원을 찾기 위해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심 집단 3개와 보조 집단 3개가 나타났다. 핵심 군집엔 대학의 사회적 책임과 지역발전, 그리고 세계화를 의미하는 단어들이, 보조 군집엔 사업, 꿈, 인사와 관련한 단어들이 출현하였다. 전문대학과 4년제를 비교하면 전문대학은 산업과 기술적 역량에, 4년제는 교육 역량과 학문적 연구 성과에 중점을 뒀다.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 속, 대구·경북 대학들이 내세우는 지향점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28837725029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9.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