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포자 배양의 시기와 조건이 양배추의 배발생에 미치는 효과
Our aim was to find the effective duration and culture conditions for microspore culture in a genetically variant cabbage (Brassica oleraceae L. var. capitata). We discovered that the '$2{\times}NLN$ medium containing $AgNO_3$ 1 mg/l, sucrose 13%' was most efficient in producing the cabbag...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 44; no. 1; pp. 27 - 34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Korean Society for Plant Biotechnology
31.03.2017
(사)한국식물생명공학회 한국식물생명공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2818 2384-1397 |
Cover
Summary: | Our aim was to find the effective duration and culture conditions for microspore culture in a genetically variant cabbage (Brassica oleraceae L. var. capitata). We discovered that the '$2{\times}NLN$ medium containing $AgNO_3$ 1 mg/l, sucrose 13%' was most efficient in producing the cabbage embryos. The number of induced embryos was higher in $F_2$ or $F_3$ progeny generation than the $F_1$ hybrid cultivar used as plant materials. Thus, we recommend microspore culturing using progeny plants of failed $F_1$ cultivar. The acquisition ratio of embryos and plants derived from microspore was higher in the early flowering period as compared to the late flowering period. When transplanted in the soil, 71.2% plants developed from the early flowering period, compared to 27.0% from the middle period and 1.8% plants from the late period. Thus, we recommend microspore culture using buds collected during the early flowering period. 유전적으로 다양한 양배추 유전자원들의 소포자 배양을 통하여 배양에 효과적인 시기와 배양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times}NLN$, $AgNO_3$ 1 mg/l, 13%의 sucrose'로 조성 된 배지 조건에서 배 생산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배양 재료로 사용된 유전자원 중 소포자로부터 유도된 배 발생 개수는 일대잡종 세대 보다 자가 수정 후대인 $F_2$ 또는 $F_3$ 세대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양배추의 일대잡종 품종에서 소포자 배양 시 배의 획득에 실패한 경우, 그의 자손 세대를 사용하여 소포자 배양을 지속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소포자로부터 유도된 배와 식물개체 수는 개화 초기의 결과가 중기 및 말기 보다 높았다. 토양순화 된 식물체의 경우는 중기와 말기의 각각 27.0 % 및 1.8 %인 것에 비하여 개화 초기에 유도된 비율이 71.2 %였다. 따라서 소포자 배양에 활용할 꽃봉오리는 개화 초기에 채취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19363527899 G704-000847.2017.44.1.011 |
ISSN: | 1229-2818 2384-13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