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TM을 활용한 한국 여성의 가족가치관과 우울의 군집분석: 여성가족패널 2007-2018년 자료를 중심으로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nge trajectories and clusters of Korean women's family values and depression levels, and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to use balanced panel data from the 1st to 7th rounds of the Korea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SWF). The subjects of thi...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4) Vol. 22; no. 4; pp. 433 - 444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4.433 |
Cover
Summary: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nge trajectories and clusters of Korean women's family values and depression levels, and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to use balanced panel data from the 1st to 7th rounds of the Korea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SW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48 female panelists who participated in the KLSWF, and LSTM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ython to divide the clusters of Korean women suffering from depression.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OV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women's depression increased with age, and family valu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more open the marriage values of women in the married group,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family values trajectory and depression level of the analyzed subjects were not a single pattern, but included four clusters. To prevent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and provide more concrete interventions, a humanities and sociological system that can identify depression groups should be prepared.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여성가족패널조사 1차부터 7차까지의 균형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여성의 가족가치관, 우울의 변화 궤적과 군집, 그리고 우울의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여성가족패널에 참여한 여성 패널 5,048명이며, Python의 통계분석패키지 및 LSTM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여성의 우울군집을 나누었다. 또한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ANOVA, 다항 로지스틱회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수준이 증가하였으며, 가족가치관은 여성의 우울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혼집단의 여성의 결혼가치관이 개방적일수록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여성의 우울, 가족가치관궤적의 군집별 사회 인구학적 요인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가족가치관궤적과 우울수준은 단일 양상이 아니라 네 개의 상이한 군집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한국여성의 우울을 예방하고 이에 대한 개입 방안을 보다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개인별 특성과 가족가치관을 고려한 집단별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13253789163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2.22.04.4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