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 은퇴자의 삶의 여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This study is about a life history. Through investigating the life of retired teachers in preschoo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uthors wan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retirement and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find out their personal and social needs in post-retirement life. Studies have sho...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1) Vol. 21; no. 1; pp. 626 - 638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4877 2508-6723 |
| DOI | 10.5392/JKCA.2021.21.01.626 |
Cover
| Summary: | This study is about a life history. Through investigating the life of retired teachers in preschoo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uthors wan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retirement and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find out their personal and social needs in post-retirement life. Studies have shown that their experiences at childhood have greatly influenced the performance of one's profession, such as contributing to setting limits on behaviors of their students. In the period of interdependence, they have contributed to serving society and the nation beyond as a professional, and in the second half of his teaching career, they have learned that their painful experience was a resource and have realized that changing mind can make the world changed. Since teachers' behavior affects on many subjects unlike other jobs, rewards or satisfaction from the job was bigger than any other jobs. However, after retirement, they felt a sense of emptiness in life without any sense of belonging or accomplishment, while feeling happiness and infinite freedom in other hand. Thy still go forward for life challenging to new study.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로서 교직에서 은퇴한 유·초·중등의 남·여 교원의 삶을 통하여 은퇴의 의미와 적응과정을 탐색하여 교원 은퇴자들에게 개인적·사회적 필요가 무엇일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 시절의 성장 경험과 학창 시절의 경험은 학생에게 선한 영향을 주거나 하지 말아야 할 행위의 한계를 설정하는데 기여하는 등, 오롯이 본인의 직업 수행에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호의존의 시기에 단순 직업인을 넘어서 사회와 국가에 봉사하는 데에 기여하였고, 교직 후반기에는 아픈 경험이 자원이었고 '생각을 바꾸니 세상이 바뀌었다'는 표현으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였다. 교원이 미치는 행위의 영향이 다른 직업과 달리 다수의 대상에게 미친다는 점에서 교원 은퇴자들에게는 은퇴 전의 직업에 대한 보람이나 만족감이 다른 직종과 대비될 정도로 컸다. 그러나 은퇴 후에 교원 은퇴자들은 무한 자유에 행복을 느끼면서도 소속감과 성취감 없는 삶에 심리적인 공허함을 느꼈다. 그리고 새로운 공부에 도전하며 삶의 이모작을 위한 끊임없는 전진을 하고 있었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03562814198 |
| ISSN: | 1598-4877 2508-6723 |
| DOI: | 10.5392/JKCA.2021.21.01.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