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고령친화식품 섭취 차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oods suitable for the level of oral health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of elderly-friendly foods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Using data from the health questionnaire, oral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of t...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12) Vol. 21; no. 12; pp. 697 - 70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12.697 |
Cover
Summary: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oods suitable for the level of oral health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of elderly-friendly foods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Using data from the health questionnaire, oral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oral health status and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the elderly by each stage of elderly-friendly foods were analyzed, and a complex sampl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he elderly who mainly consume stage 3 elderly-friendly foods appear to have very poor or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Therefore, when developing elderly-friendly foo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foods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considering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appropriate nutrients. 인구 고령화에 따라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고령친화식품 섭취 실태를 분석하여 구강건강수준에 맞는 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설문, 구강검진,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고령친화식품 단계별 구강건강상태와 영양 섭취 실태를 복합표본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75세 이상의 고령자일수록(p=0.013), 저소득과 고소득 양극단에서(p=0.008) 고령친화식품의 3단계 섭취자가 유의하게 많아 상대적으로 혀로 섭취할 수준의 무른 음식을 주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치를 보유하거나(p=0.024, 0.008) 임플란트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p=0.003)에서 고령친화식품의 3단계 섭취자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저작불편 등 주관적 지표보다 보철물 보유 등과 같은 객관적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영양소에 따라 고령친화식품 3단계 섭취자가 전반적으로 영양소 기준보다 적게 섭취하고 있었다. 고령친화식품의 3단계를 주로 섭취하는 노인은 구강건강수준과 영양상태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고령친화식품 개발 시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및 적절한 영양소를 고려한 다양한 식품 개발과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02539920586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12.6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