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의 기쁨』의 신약성경적 배경과 한국 교회의 과제

프란치스코 교황의 첫 권고,「복음의 기쁨」은 21세기의 새 복음화에 대한 포괄적인 헌장이다. 본고는 1장에서「복음의 기쁨」의 핵심적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복음의 기쁨」은 무엇보다 부활하신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통하여 삶의 의미를 되찾은 사람들이 그 기쁨을 다른 이들과 나누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제자 공동체를 가득 채우는 기쁨은 무엇보다 선교의 기쁨인 것이다. 이처럼 교회는 개종 강요가 아니라 자체의 매력에서 성장한다. 교황 권고는 교회 구조가 선교 중심으로 개혁되어야 하고 선교하기 위해 떠나는 교회여야 한다고 말한다. 권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Gatolrig sinhag gwa sa'sang no. 73; pp. 62 - 117
Main Author 백운철(Baik Woon chul)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The Society of Theology and Thought 30.06.2014
신학과사상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4924
2508-310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프란치스코 교황의 첫 권고,「복음의 기쁨」은 21세기의 새 복음화에 대한 포괄적인 헌장이다. 본고는 1장에서「복음의 기쁨」의 핵심적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복음의 기쁨」은 무엇보다 부활하신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통하여 삶의 의미를 되찾은 사람들이 그 기쁨을 다른 이들과 나누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제자 공동체를 가득 채우는 기쁨은 무엇보다 선교의 기쁨인 것이다. 이처럼 교회는 개종 강요가 아니라 자체의 매력에서 성장한다. 교황 권고는 교회 구조가 선교 중심으로 개혁되어야 하고 선교하기 위해 떠나는 교회여야 한다고 말한다. 권고에서는 선교 중심의 교회 쇄신을 위해 사목자의 이기적 태만과 영적 세속성이 지적되고 강론의 중요성과 그 방법에 대해 길게 서술된다. 그리스도교적 구원은 한 사람의 정신적, 육체적, 사회적 현실 전체를 포괄하는 것이므로, 선교는 당연히 사회적 차원을 지니게 된다, 교황 권고는 현대 사회의 자본주의 독재가 인간을 맘몬의 노예로 만들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생산하는 비인간적인 시스템임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권고는 무엇보다 교회가 가난한 이들을 위한 가난한 교회이기를 바라면서 가난에 담긴 심오한 신학적 의미를 되새긴다.「복음의 기쁨」은 사회적 통합을 위해 그리스도교 교파들 간의 일치운동과 종교 간의 대화 그리고 신앙과 과학의 대화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복음 선포자의 영성은 이 세상에 작용하는 예수 부활의 힘의 도구가 되어 성령의 인도하에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미지의 세계로 두려움 없이 나아가는 것이다. 교황은 마지막으로 신앙과 순종의 모델이요, 복음화의 어머니이자, 신앙인들에게는 하느님의 작은 이들을 위한 기쁨의 샘이신 마리아에 대해 언급하면서 첫 교황 권고를 끝마친다. 본고는 2장에서「복음의 기쁨」의 신약성경적 배경을 살펴보는데, 사랑이 하느님에게서 오듯이 복음의 기쁨이 하느님에게서 예수에게로 예수에게서 제자들에게로 그리고 제자들에게서 사람들에게 전해지고 이것이 바로 선교의 결과임을 밝힌다. 「복음의 기쁨」에 묘사된, 떠나는 교회는 특히 마르코 복음의 예수와 제자들의 엑소더스의 실존 양식에 근거한다. 신약성경의 제자상으로 제시된 어부와 목자의 이미지는 선교하는 사목자의 모습을 보여 준다. 선교의 사회적 차원에 대하여 분석해 보면 예수의 군중이나 초대 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은 주로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이었다. 이를 통해 초대 교회는 기존의 사회질서와는 달리 가난한 사람을 중심으로 한 대조사회를 지향했음이 드러난다. 아울러 2장은 선교와 교회일치, 복음과 문화, 그리고 선교의 모델인 마리아를 연구하고, 결론적으로「복음의 기쁨」이 추구하는 그리스도교는 철저히 성경적 그리스도교임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복음의 기쁨」을 토대로 한국 가톨릭교회의 과제를 고찰하는데, ‘복음의 기쁨’이 현대의 피로사회에서는 더욱 절실한 성령의 선물임을 강조하고 참된 선교를 위해 사목자들의 회개와 본당의 변화가 필요함을 역설한다. 아울러 마지막 장은 선교의 사회적 차원에서 사회적 통합을 위해 가난한 이들에 대한 우선적인 선택과 교회일치운동, 종교 간의 대화, 그리고 신앙과 과학 간의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복음의 기쁨」이 제시한 이정표에 따라 신학생을 양성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더욱 ... "The Joy of the Gospel", the first apostolic exhortation of Pope Francis, is a comprehensive constitution for the New Evangelization of 21th century. In the first chapter, this exhortation emphasizes that those who have retrieved the meaning of life in the encounter with the living Jesus, have to share this joy with other peoples. Thus, the Gospel’s joy which enlivens the community of disciples is a joy in mission. It is not by proselytizing that the Church grows but by its own attraction. The Pope is saying that the organization of Church should be changed into the one focusing on a mission and Church should go forth directly to do a mission.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the exhortation mentions the selfish sloth of priests and their spiritual worldliness and explains lengthily the importance of a homily and its method. A mission is subject to have the social dimension since the christian salvation comprises the spiritual, physical and social dimension of a person. The exhortation criticizes severely the dictatorship of capitalism which enslaves the humanity under the mammonism and makes people poorer with social alienation. Emphasizing the theological meaning of poverty, the Pope hopes that Church to be poor for the poor. And he exhorts an intra-christian ecumenism and a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like judaism and Islam and he also suggests that the dialogue between the faith and science is needed in other to make the social peace and integration. The spirituality of evangelizers is to go forth fearlessly toward the unknown world that the Father wants, guided by the holy Spirit, as an instrument of the resurrectional power of Jesus at working on the whole universe. Finally the Pope ends his exhortation by mentioning Mary as Mother of Evangelization, Model of faith and obedience as well as a wellspring of happiness for God’s little ones. In the second chapter this study shows the new testamental background of "The Joy of the Gospel" by illustrating that the joy originally comes from God through his creation and salvation of his people and that this joy is transferred to Jesus, from Jesus to his disciples, and from his disciples to the people as a result of mission. The church going forth described in "The Joy of the Gospel" is founded on the exodus-existence of Jesus and his disciples whose images as a fisherman and a shepherd manifest a figure of missionary pasto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ocial dimension of a mission, the crowd of Jesus and the first christians were mostly poor and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s. Based on this fact, it can be sure that the early Church aimed for a counterculture community with poor people as the center, unlike the then established society. At the same time in the second chapter, it dealt with a mission and oecumenism, gospel and culture, and Mary, Model of evangelization. Also it affirmed that christianity which is pursed by the papal exhortation "The joy of the Gospel" is the one based throughly on bible. Considering the task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oy of the Gospel", this study emphasizes in the third chapter that the evangelical joy is more required as a gift of the Holy Spirit in a tired society and that the repentance of the pastors and the reform of the church are necessary for a true mission. Furthermore, the final chapter insists that it’s important to focus on the poor. And also, it’s needed to conduct the oecumenical movement and interreligious dialogue as well as the dialog between faith and science for the social integration. All of these are the essential components to make social peace. Finally, this study reache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more important and urgent than any other issues to educate the seminarians following the milestone indicated by "The Joy of the Gospel".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SER000010592.2014..73.003
ISSN:1225-4924
2508-3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