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 봄꽃(개나리꽃, 진달래꽃, 목련꽃, 벚꽃)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 검색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s and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80% ethanolic extracts prepared from five edible spring flowers.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14.1-18.9 mg gallic acid equivalents/g of dry weight; DW), flavonoids (0.3-4.9 mg catechin equi...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식품과학회지 Vol. 46; no. 1; pp. 13 - 18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과학회
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67-6293 2383-9635 |
DOI | 10.9721/KJFST.2014.46.1.13 |
Cover
Summary: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s and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80% ethanolic extracts prepared from five edible spring flowers.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14.1-18.9 mg gallic acid equivalents/g of dry weight; DW), flavonoids (0.3-4.9 mg catechin equivalents), total carotenoids ($1.9-578.1{\mu}g$ ${\beta}$-carotene equivalents), and proanthocyanidins (2.8-23.5 mg catechin equivalents), were determined by spectrophotometry. In addition,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0.71-1.31 mg) was determined using HPLC with UV detection. All varieties of the flower examined showed antioxidant potential (1.2-46.1 mM Trolox equivalents/g DW), which was measured by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reducing power. Of the five flowers analyzed, Prunus avium L.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ascorbic acid ($r^2=0.75$), flavonoids ($r^2=0.71$), and total phenolic content ($r^2=0.64$) and the antioxidant parameters, suggest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likely significant contributors to the antioxidant capacity of the five spring flowers.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식용 봄꽃 중 개나리꽃, 진달래꽃, 벚꽃, 목련꽃(백목련, 자목련) 등의 8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봄꽃 시료의 건물 중량(g of dry weight)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중 총 페놀함량은 gallic acid 등량값으로 14.1-18.9 mg이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atechin 등량값으로 0.3-4.9mg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타민 C의 함량은 0.71-1.31 mg이었으며,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베타카로틴 등량값으로 $1.9-578.1{\mu}g$으로 나타났으며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함량은 카테킨의 등량값으로 2.8-23.5 mg으로 측정되었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 및 FRAP 분석의 환원력에 의한 시료의 항산화활성은 건물시료 중량 당 trolox 등량값으로 1.2-46.1 mM로 나타났다(p<0.05). 이들 항산화활성에 상관도($r^2$)가 가장 높은 생리활성 성분은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함량의 순으로 나타나 이들 성분이 항산화활성의 주요인자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5종의 봄꽃 시료 중 항산화활성 성분이 다양하면서 동시에 항산화능이 가장 탁월한 시료는 벚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이들의 항산화활성은 시료 농도(1-1000 mg)에 비례하는 것으로(p<0.05) 나타나,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이소재로서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꽃으로 평가되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408739559191 G704-000138.2014.46.1.019 |
ISSN: | 0367-6293 2383-9635 |
DOI: | 10.9721/KJFST.2014.46.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