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선점 구간을 갖는 태스크들을 위한 저전력 실시간 스케줄링
The basic real-time scheduling algorithms based on RM or EDF approaches assume that the tasks are preemptive, but the tasks may contain nonpreemptive sections in many cases. Also the existing scheduling algorithm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cessor is based on the task utilizations a...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0(1) Vol. 10; no. 1; pp. 103 - 11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Cover
Summary: | The basic real-time scheduling algorithms based on RM or EDF approaches assume that the tasks are preemptive, but the tasks may contain nonpreemptive sections in many cases. Also the existing scheduling algorithm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cessor is based on the task utilizations and determines the processor speed $S_H$ or $S_L$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blocking intervals. In this algorithm, the $S_H$ interval that operates in high speed is the interval during which the priority inversion by blocking occurs, and the length of this interval is set to the task deadline that includes the blocking interval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algorithm tha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ratio b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S_H$ interval. The simulation shows that the power consumption ratio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reduced as much as 13%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RM이나 EDF에 기반을 둔 실시간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은 태스크들이 선점 가능함을 가정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선점 불가능한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기존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태스크 이용률을 기반으로 하여 블로킹 구간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기준으로 두 가지 프로세서 속도($S_H$, $S_L$)를 결정한다. 이 알고리즘에서 높은 속도로 동작하는 $S_H$ 구간은 블로킹에 의한 우선순위 역전이 발생하는 구간이며 이 구간의 길이는 블로킹 구간을 포함한 태스크 종료시한까지로 설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S_H$ 구간의 길이를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더 짧게 하여 전력소모율을 낮추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전력소모율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하여 최대 13%만큼 감소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015939077926 G704-001475.2010.10.1.033 |
ISSN: | 1598-4877 2508-6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