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껍질의 효소분해에 의한 기능성 올리고당의 생산 및 특성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oligosaccharides from buckwheat hull by using commercial enzymes. Yields of oligosaccharides obtained by enzymatic hydrolysis of the cellulose and hemicellulose fractions were 132.37 and 393.04 g/kg, respectively. Xylose, glucose, fructose, xylobiose, xylotrios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48; no. 3; pp. 201 - 207
Main Authors 임희진(Hee Jin Im), 김춘영(Choon Young Kim), 윤경영(Kyung Young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16.48.3.2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oligosaccharides from buckwheat hull by using commercial enzymes. Yields of oligosaccharides obtained by enzymatic hydrolysis of the cellulose and hemicellulose fractions were 132.37 and 393.04 g/kg, respectively. Xylose, glucose, fructose, xylobiose, xylotriose, cellobiose, and cellotriose were detected in the hydrolysate produced from buckwheat hull. Antioxidant activity of oligosaccharide from cellulose fraction (OSC) reduced with increasing hydrolysis time; howev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ligosaccharide from hemicellulose fraction (OSF) increased as the hydrolysis time was prolonged. OSF and OSC showed higher increase in viable counts compared to the control. As a result, oligosaccharides produced from buckwheat hull by enzymatic hydrolysis showed antioxidant activity and prebiotic effects. It is suggested that utilization of oligosaccharides produced from buckwheat hull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may be improved when hydrolysis time and conditions are controlled for this purpose. 메밀껍질은 메밀 알곡보다 유효성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식품학적 가치가 떨어져 대부분 폐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효소분해하여 기능성 올리고당을 생산하고 이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최적 가수분해조건은 셀룰로스 분획의 경우 pH 5.0, $40^{\circ}C$, 기질농도 4%로 결정되었으며, 헤미셀룰로스 분획은 pH 5.0, $40^{\circ}C$, 30 unit으로 결정되었다. 최적 분해조건을 이용하여 72시간 효소분해 후 얻은 올리고당의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 셀룰로스와 헤미셀룰로스 분획으로부터 얻은 올리고당의 수율은 각각 132.37 g/kg 및 393.04 g/kg이었다. 또한 각 분획의 올리고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포도당, 자일로스, xylobiose, xylotriose, cellobiose 및 cellotriose가 검출되었다. 올리고당(OSC, OSH)의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한 결과, OSC는 분해시간이 증가할수록 산화방지 활성은 감소한 반면 OSH는 증가하였다. 또한 메밀껍질로부터 생산된 올리고당 첨가 시, 모든 비피더스 균주의 생육이 control에 비해 증가하여 프리 바이오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효소분해에 의해 메밀껍질로부터 올리고당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산화방지와 프리바이오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목적에 따라 효소의 처리시간 및 방법을 다양화한다면 기능성식품으로의 활용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20341074959
G704-000138.2016.48.3.004
ISSN:0367-6293
2383-9635
DOI:10.9721/KJFST.2016.48.3.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