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youth. The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ird-year panel survey data of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from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male student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5) Vol. 15; no. 5; pp. 340 - 352
Main Authors 김현순(Hyun-Soon Kim), 최영준(Young-Joon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5.15.05.34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youth. The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ird-year panel survey data of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from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male students' mobile phone dependency is more serious than the male students' mobile phone dependency. Second, while the identified male gender predictors are aggression, parental abuse, aprosexia, study activity and social withdrawal, the identified female gender predictors are depression, aprosexia, aggression, study activity and social withdrawal.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planning of prevention or intervention of mobile phone dependency a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 3차 년도(2012)의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였다. 예측 변인으로 주의집중결핍,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부모의 학대, 부모의 방임, 학습활동, 또래소외를 설정하고 단계적(stepwise)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의존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는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변인은 공격성이고 그 다음이 부모의 학대, 주의집중 결핍, 그리고 학습활동 순이었으며, 여학생의 예측변인은 첫째가 우울이고 그 다음이 주의집중 결핍, 공격성, 학습활동 그리고 사회적 위축 순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은 남학생의 경우보다 더 많은 변인의 영향을 받으며, 남학생의 경우와는 달리 우울과 사회적 위축과 같은 관계지향적인 변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의 실천적 방안은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보다는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17058945410
G704-001475.2015.15.5.041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5.15.05.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