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광원을 이용한 복잡한 배경의 잠재지문 시각화 및 증강에 관한 연구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s from evidence found at crime scenes. Crime scene investigators should choose appropriate techniques among them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evidenc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hree methods using forensic light sources to devel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3) Vol. 16; no. 3; pp. 72 - 80
Main Authors 조형우(Hyeong-Woo Cho), 고현서(Hyun-Seo Koh), 한상균(Sang-Gyoun Han), 유제설(Je-Seol Y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6.16.03.07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re are various methods of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s from evidence found at crime scenes. Crime scene investigators should choose appropriate techniques among them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evidenc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hree methods using forensic light sources to develop latent fingerprints on multi-colored surfaces. We selected the various samples according to color, shape and texture of the surfaces and developed the latent fingerprints using fluorescent powder, IR(Infrared) photography and Episcopic Co-axial Illumination. Fluorescent powder was highly effective on all surfaces. IR photography was also effective, but only on the not dark surfaces. Episcopic Co-axial Illumination was effective only on the flat and polished surfaces. Although fluorescent powder was fine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s, IR photography was better on certain surfaces. 범죄 현장에서 발견되는 증거물에서 지문을 현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다양한 기법 중에 증거물의 상태와 조건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것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색상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배경의 표면에 유류된 지문을 현출할 수 있는 법광원 이용 기법 세 가지를 비교하여 보았다. 색상, 표면의 모양, 표면의 질감에 따라 다양한 검체를 선정하였으며 형광 분말, 적외선 사진 촬영, 에피스코픽 동축 조명을 이용하여 잠재지문을 현출하였다. 형광 분말은 모든 표면에서 지문과 배경의 대조비가 커서 좋은 결과를 보였고 IR사진 촬영은 지문과 배경의 대조가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나 검정색이 포함된 배경에서는 대조비가 떨어졌다. 에피스코픽 동축 조명 촬영은 광택이 있는 평면 표면에서만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형광 분말이 표면의 특성에 관계없이 지문 현출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특정 표면에서는 IR사진 촬영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11639305804
G704-001475.2016.16.3.031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6.16.03.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