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의 게시글 정보가 펀딩 성공에 미치는 영향

Crowdfunding, a way of raising small size investments or donations from numerous individuals, mostly through internet to fund a project, has attracted global interests. The growth of the social network platform has made crowdfunding easier especially for those in the arts and culture sector. Despit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6) Vol. 14; no. 6; pp. 54 - 62
Main Authors 이정은(Jeongeun Lee), 신형덕(Hyung-Deok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4.14.06.05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Crowdfunding, a way of raising small size investments or donations from numerous individuals, mostly through internet to fund a project, has attracted global interests. The growth of the social network platform has made crowdfunding easier especially for those in the arts and culture sector. Despite the growth of such vehicle, there has been not much empirical research on the subject.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formation in the web sites and its contribution to the success in fundraising. We have sampled 161 projects that were uploaded on Tumblbug.com and studied the type of information that lead to a successful fund raise. As a result, we fould that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including motion-pictures, images, and lengthy text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success of fundraising. Fundraising rewards did not show any impacts. 최근 다수의 후원자가 함께 참여하여 소규모 후원과 투자를 통해 재원을 조성하는 크라우드펀딩이 주목을 받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을 기반으로 접근성이 높아 특히 문화예술 분야의 콘텐츠 제작자들이 크라우드펀딩을 많이 활용하고 있으나 어떤 특성이 펀딩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의 게시글 정보가 펀딩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문화예술 분야의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인 텀블벅을 선정하였으며 총 161개의 게시글을 수집하여 게시글 정보의 속성과 펀딩 성공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동영상, 시각적 이미지, 텍스트 정보를 제시한 게시글에서는 여러 정보가 펀딩 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후원자가 받을 수 있는 유형, 무형의 보상 제공과 관련한 정보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420249946619
G704-001475.2014.14.6.011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4.14.06.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