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관련 CSR 수행이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기업의 기대수준에 미치는 영향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impact of performing level of CSR-Labor standard index to corporate's expectation level to raise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morale. Using ordered probit analysis method, corporate higher level of performing CSR-Labor standard index is related with hi...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9(2) Vol. 9; no. 2; pp. 242 - 251
Main Authors 권순원(Soon-Won Kwon), 김소영(So-Young Kim), 이호선(Ho-S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impact of performing level of CSR-Labor standard index to corporate's expectation level to raise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morale. Using ordered probit analysis method, corporate higher level of performing CSR-Labor standard index is related with higher expectation of raising the employee's jobs satisfaction and morale on average. Also performing levels of individual index are positively related with expectation level. When using all standard indexes in the analysis, index 3 named "workplace without discrimination" and index 7 named "healthy and safe workplace" have significant coefficients. Therefore we confirmed that corporate making efforts to achieve safe workplace without discrimination has higher expectation to raise th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morale. Finally we concluded that CSR-Labor standard index is properly constructed. 본 연구는 CSR-노동기준 실행이 종업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기업의 기대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순서형 프로빗(Ordered Probit) 분석기법을 사용한 결과 평균적으로 CSR-노동기준의 실행수준이 높은 기업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종업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에 대한 몰입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개별 지표들의 실행수준도 기대수준과 유의한 양의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SR-노동기준 전체를 분석에 이용한 결과 기준지표 3인 '차별 없는 직장'과 기준지표 7인 '건강하고 안전한 직장'의 계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차별 없고 안전한 직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일수록 종업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논문의 분석결과 CSR-노동기준지표의 설계가 적절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0909651047560
G704-001475.2009.9.2.049
ISSN:1598-4877
2508-6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