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0가지 축산물 및 축산가공 식품의 섭취량 및 섭취빈도 조사
Estimation of food consumption details, such as portion size and frequency of consumption, is needed for exposure assessment step i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mounts and frequencies of 50 kinds of consumed livestock products. A quantitative survey was performed by...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5; no. 8; pp. 1177 - 1191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Summary: | Estimation of food consumption details, such as portion size and frequency of consumption, is needed for exposure assessment step i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mounts and frequencies of 50 kinds of consumed livestock products. A quantitative survey was performed by trained interviewers in face-to-face interviews with 1,500 adults aged over 19,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even major provinces in Korea. Respondents received a picture of one serving size for each of the 50 livestock products, including meats, processed meat product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eggs and processed egg products. A t-test and general linear model were carried out using SPSS statistic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was residence area.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food was milk (2.6 times/week), followed by pork (1.4 times/week), liquid yogurt (1.3 times/week), rolled omelet (1.2 times/week), semisolid yogurt (1.0 times/week), steamed egg (1.0 times/week), ice cream (0.9 times/week), chicken (0.8 times/week), low fat milk (0.7 times/week), and beef (0.6 times/week). In the case of consumption amount, people living in a city consumed meat (beef, pork, chicken, and duck) 1.5 times more than those living in a village, whereas milk and dairy products and eggs and processed egg products were consumed more frequently by people living in a town. When people eat meat, they consume twice the amount of one serving size. Students consumed livestock and processed livestock products more frequently with greater portions all at once. People living in Seoul, Incheon/Gyeonggi, and Busan/Ulsan/Gyeongnam consumed livestock products more frequently in large amounts. Data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risk assessment of livestock and processed livestock products as well as education for saf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의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식중독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다양한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50가지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해 대한민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축산식품의 섭취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성별, 나이별, 지역 크기별, 직업별, 지역별로 섭취량 및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축산식품의 섭취량과 섭취빈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역의 차이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섭취량 및 섭취빈도가 높았으며, 나이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섭취량 및 섭취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크기별로는 식육 및 그 가공품의 경우 대도시, 우유 및 유가공품과 알류 및 알 가공품은 중소도시에서 섭취량 및 섭취빈도가 높았으며, 직업별로는 학생이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한 섭취량과 섭취빈도가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인천/경기, 부산/울산/경북에서 섭취량과 섭취빈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 전체(1,500명)의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한 달에 가장 자주 섭취하는 식육과 그 부산물류에서는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순이었고, 축산가공품에서는 햄, 양념된 돼지불고기, 소시지 순이었으며, 우유 및 유가공품에서는 우유, 액상 요구르트, 호상 요구르트 순이었고 알류 및 알 가공품에서는 계란말이, 계란찜, 삶은 계란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인구집단에 따른 50가지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의 섭취량과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인구집단에 따라 선호하는 축산식품의 종류가 다르며 섭취하는 양에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안전한 축산식품 섭취 관련 식중독 교육에 활용할 수 있으며,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의 병원성 식중독균에 대한 위해평가 과정에서 노출평가에 필요한 섭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625654348041 G704-000433.2016.45.8.005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