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숭아 유전체 및 전사체 최근 연구 동향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trends of genomics and transcriptomics research on peach, a model species of Rosaceae. Peach genome maps have been developed from various progeny groups with many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bas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Molecular markers of qu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 42; no. 4; pp. 312 - 325
Main Authors 조강희(Kang Hee Cho), 권정현(Jung Hyun Kwon), 김세희(Se Hee Kim), 전지혜(Ji Hae J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n Society for Plant Biotechnology 31.12.2015
(사)한국식물생명공학회
한국식물생명공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2818
2384-1397
DOI10.5010/JPB.2015.42.4.31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trends of genomics and transcriptomics research on peach, a model species of Rosaceae. Peach genome maps have been developed from various progeny groups with many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bas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Molecular markers of qualitative traits and quantitative trait loci (QTL) such as fruit characteristics, blooming date, and disease resistance have been analyzed. Among many characteristics, markers related to flesh softening and flesh adhesion are useful for marker assisted selection. Through comparative genomics, peach genome has been compared to the genome of Arabidopsis, Populus, Malus, and Fragaria species. Through transcriptomics and proteomics, fruit growth and development, and flavonoid synthesis, postharvest related transcriptomes and disease resistance related proteins have been reported. Recently, development of NGS based markers, construction of core collection of germplasm, and genotyping of various progenies have been preceded. In the near future, accurate QTL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useful genes are expect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ffective molecular breeding. 본 논문에서는 장미과 과수의 유전체 연구의 모델작물인 복숭아 유전체 연구에 대한 동향을 파악해서 국내 복숭아 유전체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분자육종을 위한 기반 연구인 유전자지도는 다양한 교배집단에서 작성되었고, 현재 차세대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얻은 대량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를 이용하여 고밀도화시키고 있다. 과실형질, 개화기, 병 저항성 등 질적형질과 양적형질에 관한 분자마커와 양적형질유전자좌가 동정되었고, 이중 과육의 용질성과 핵의 점리 형질에 대한 분자마커를 이용한 조기선발(marker assisted selection)의 활용성은 매우 높다. 애기장대, 포플라, 사과, 딸기 등 다른 작물과의 비교유전체, 복숭아의 성숙 및 발달, 플라보노이드 합성, 수확 후 저장기간에 발현하는 유전자 등에 대한 전사체, 과실 성숙기간에 발현되는 병 저항성 단백질 등에 대한 단백질체 연구도 보고되었다. 현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대량 분자마커의 개발, 핵심 유전자원의 구축, 집단의 유전형 분석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농업적으로 유용한 형질에 대해 더 정확한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과 유용유전자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고, 효율적인 분자육종의 기초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05555187827
http://www.kspbtjpb.org/journal/list.html?pn=lastest
G704-000847.2015.42.4.003
ISSN:1229-2818
2384-1397
DOI:10.5010/JPB.2015.42.4.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