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처리가 발아벼의 항산화 성분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i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antioxidant compound and activity of rough rice with different germination periods and high pressure treatment. The subject was germinated at $37^{\circ}C$ for 6 days (HP0), and then the germinated rough rice were subjected to 30 MPa for 24 h...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2; no. 11; pp. 1783 - 1791
Main Authors 김민영(Min Young Kim), 이상훈(Sang Hoon Lee), 장귀영(Gwi Young Jang), 박혜진(Hye Jin Park), Li Meishan, 김신제(Shinje Kim), 이연리(Youn Ri Lee), 이준수(Junsoo Lee), 정헌상(Heon Sang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i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antioxidant compound and activity of rough rice with different germination periods and high pressure treatment. The subject was germinated at $37^{\circ}C$ for 6 days (HP0), and then the germinated rough rice were subjected to 30 MPa for 24 hr (HP24) and 48 hr (HP48), respectively. HP0, HP24 and HP48 samples were prepared and extracted with 80% ethanol.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5.15 mg/g) occurred in treating at HP48 after germination for 5 days.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including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rho}$-coumaric acid, ferulic acid, salicylic acid, naringin, myricetin, trans-cinnamic acid, naringenin and kaempferol increased from $37.26{\sim}204.32{\mu}g/g$ at HP0 to $77.29{\sim}283.05{\mu}g/g$ at HP48. In antioxidant activity analyses, HP48 extracts showed higher values in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Fe^{2+}$ iron chelating effect than those of the HP24 and HP0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ed treatment of high pressure treatment and germination process efficiently enhanced antioxidant compound and activity of rough rice. 본 연구에서는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발아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고압처리공정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아기간은 6일까지로 하였고, 기간별로 발아된 벼는 30 MPa의 압력 하에서 24시간 및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48시간 고압처리를 실시한 6일차 발아벼가 5.15 mg/g으로 고압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6일차 발아벼의 1.11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15종의 페놀산 중 gallic acid 외 6종의 페놀산과 총 페놀산함량이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구의 경우 발아 4일차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압처리 24시간 처리구와 48시간 처리구 모두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환원력과 이온킬레이팅 효과는 총 폴리페놀, 페놀산 함량과 유사하게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아와 가압을 병행처리 하였을 때 일반벼 및 발아벼에 비해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발아벼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압처리공정의 적용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336447763156
G704-000433.2013.42.11.001
ISSN:1226-3311
2288-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