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니스 콘텐츠 추천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성 및 웰니스 특성 분석 기법

Research into recommendation systems for wellness content has focused on representative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welln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interest in wellness has recently increased. But existing research is not suitable because it uses only one or two of the five wellness area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 19; no. 8; pp. 83 - 93
Main Authors 홍민성(Min-Sung Hong), 이오준(O-Joun Lee), 이원진(Won-Jin Lee), 이재동(Jae-Do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Research into recommendation systems for wellness content has focused on representative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welln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interest in wellness has recently increased. But existing research is not suitable because it uses only one or two of the five wellness areas: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And It cause decline of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for recommendation. Thus, a wellness areal feature analysis and integration management technique is needed. In this paper, suggest meta-data configuration and feature analysis technique of content. Also Cosine similarity of wellness areal features of the content was analyzed by applying a wellness areal score calculated in this way and by suggested wellness areal detailed properties and a measurement system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is research. This allows the wellness features of contents analyzed, and even will be able to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service for wellness. 최근 웰니스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웰니스와 IT 융합의 대표적인 연구로 웰니스를 위한 추천 시스템 등의 연구가 시도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웰니스 영역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영역 중 한 영역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영역만을 다루기 때문에 웰니스를 위한 추천 시 사용자들의 신뢰도와 만족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의 웰니스 영역별 특성을 통합하여 관리 및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콘텐츠의 메타데이터 구성과 웰니스 영역별 특성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사전 설문과 제안하는 웰니스 영역별 계산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콘텐츠의 웰니스 영역별 특성의 코사인 유사도를 분석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증명한다. 이를 통해 콘텐츠의 웰니스적 특징을 분석할 수 있고, 나아가 웰니스를 위한 맞춤화된 추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426059105661
G704-001619.2014.19.8.011
ISSN:1598-849X
2383-9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