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숙, 내병 및 내도복성 유채 1대잡종 ‘해안’

‘해안’은 조숙, 내병, 내도복성 유채 1대잡종으로 식용 및 바이오디젤 생산용으로 적합하다. 2008년에 웅성불임인 목포 -CGMS와 임성회복 화분친인 8516-B-5-6-5-3을 교배하여 생산력검정시험(2009 ~ 2010)과, 지역적응시험(2011 ~ 2013)을 거쳐, 2014년에 육성된 품종이다. ‘해안’의 엽형은 하부익상 전렬형이고 결각은 중간 정도이다. 엽색은 짙은 녹색이며, 화 색은 선황색, 종자색은 갈색이 섞인 검은색이다. ‘해안’의 성 숙일은 6월 4일로 ‘선망’보다 4일 정도 빨라 조숙성이다. ‘해 안’의 수량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breeding Vol. 47; no. 4; pp. 403 - 408
Main Authors 김광수(Kwang-Soo Kim), 장영석(Young-Seok Jang), 이영화(Yong-Hwa Lee), 최규환(Kyu-Hwan Choi), 강달순(Dal-Soon Kang), 김성택(Seong-Taek Kim), 최인후(In-Hu Choi), 이경보(Kyeong-B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육종학회 30.12.2015
The Korean Breeding Societ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250-3360
2287-5174
DOI10.9787/KJBS.2015.47.4.4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해안’은 조숙, 내병, 내도복성 유채 1대잡종으로 식용 및 바이오디젤 생산용으로 적합하다. 2008년에 웅성불임인 목포 -CGMS와 임성회복 화분친인 8516-B-5-6-5-3을 교배하여 생산력검정시험(2009 ~ 2010)과, 지역적응시험(2011 ~ 2013)을 거쳐, 2014년에 육성된 품종이다. ‘해안’의 엽형은 하부익상 전렬형이고 결각은 중간 정도이다. 엽색은 짙은 녹색이며, 화 색은 선황색, 종자색은 갈색이 섞인 검은색이다. ‘해안’의 성 숙일은 6월 4일로 ‘선망’보다 4일 정도 빨라 조숙성이다. ‘해 안’의 수량은 10 a당 272 kg로 같은 1대잡종인 ‘선망’에 비해 6% 증수되었다. ‘해안’의 기름함량은 44.2%이고, 지방산 중에루신산은 없는 반면 올레인산의 함량은 69.8%로 높아 식용 및 바이오디젤 생산용으로 적합하다.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은 1.84 mg/g으로 국제허용기준치인 3.0 mg/g 이하였다. ‘해 안’은 제주도를 포함하는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등 남 부지역에서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다. A new rapeseed (Brassica napus L.) F1 hybrid ‘Haean’ was crossed between ‘Mokpo-CGMS’, male sterile line and ‘8516-B-5-6-1-2’, restore line for the adaptation of paddy land culture with early maturing, disease resistant and lodging tolerance in 2008. Yield trials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0 in Muan, and regional adaptation trials were examined from 2011 to 2013 in four regions. ‘Haean’ has dark green, cleft and parted leaf, light yellowish flower, and black seed color. The maturation date of ‘Haean’ is 4th June, 4 days earlier than ‘Sunmang’. In the regional adaptation trials, average yield of ‘Haean’ was 272 kg/10a, which was 6% higher than ‘Sunmang’. Seed oil content of ‘Haean’ was 44.2%. In fatty acid composition, oleic acid content is 69.8%, which is 2.5% higher than ‘Sunmang’. Total glucosinolates content was 1.84 mg/g. ‘Haean’ has characteristics of disease resistant and lodging tolerance, this variety can be cultured at paddy lands in southwestern area including Jeonnam, Jeonbuk and Kyongnam provinces and Cheju island of Korea.
Bibliography:G704-000329.2015.47.4.008
http://dx.doi.org/10.9787/KJBS.2015.47.4.403
ISSN:0250-3360
2287-5174
DOI:10.9787/KJBS.2015.47.4.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