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GMO 포장에서 비타민 A 강화 벼의 농업특성 검정
본 연구는 대규모 GMO 격리포장에서 비타민 A 영양성분이 강화된 황금벼의 안정성 평가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프로토콜의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GM 작물의 상업화는 환경과인간건강에 대한 영향을 포함하여 GM 작물에 대한 신뢰성을구축하기 위해서도 GM 작물을 상업화하기 이전에 보다 체계적인 과학적인 검증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GMO 실습격리포장에서 총 사용면적 4,700 m2에서 비타민 A 강화벼(황금벼)와 모품종인 ‘낙동’에 대해 농업적인 특성과 병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포장에서 형질전환체...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breeding Vol. 42; no. 1; pp. 56 - 60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육종학회
28.02.2010
The Korean Breeding Society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250-3360 2287-5174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대규모 GMO 격리포장에서 비타민 A 영양성분이 강화된 황금벼의 안정성 평가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프로토콜의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GM 작물의 상업화는 환경과인간건강에 대한 영향을 포함하여 GM 작물에 대한 신뢰성을구축하기 위해서도 GM 작물을 상업화하기 이전에 보다 체계적인 과학적인 검증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GMO 실습격리포장에서 총 사용면적 4,700 m2에서 비타민 A 강화벼(황금벼)와 모품종인 ‘낙동’에 대해 농업적인 특성과 병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포장에서 형질전환체 작물의 수장, 수수 등은 ‘낙동’과는 차이가 났다. 황금벼와 ‘낙동’의 간장, 미립특성은 ‘낙동’과 유사하지만,수량은 등숙율과 1,000립중의 감소에 기인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잎도열병과 잎집무늬마름병의 병방제가의 차이는 났지만 유의성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결과는 GM 작물에 대한 환경과 인간과의 그 밖의 위해성에 대한 농업적인 특성, 병 발생양상을 일차적으로 안정성 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토콜로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of macro-protocol and the biosafety guide Golden Rice, modified vitamin A at large scale GMO field.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M) plants will be required the assessment of risks associated with the release of GM plants that should include a detailed risk assessment of their impacts in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Prior to GM plant release, applicants should provide the information on GM crops for approval. A total of 4,700 m2GM field, each of Golden Rice and ‘Nakdong’ were used for further analysis on agronomic traits and pathogenesis. Generally plant growth and panicle number in the transgenic lines were lower than in the wild type under field condition. The major agronomic traits such as plant growth, grain quality in Golden Rice were similar than in ‘Nakdong’. The yield difference was due to reduced ripened rate and the 1,000 grain weight. The grain shape was similar donor plant, however, color of brown rice was different from segregation. Also the difference of pathogenesis reac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leaf blast and sheath blight between Golden Rice and ‘Nakdong’. These results provided the agronomic data and pathogenesis for risk assessment analysis of Golden Rice and suggested that the macro-protocol could be useful to detect GM plants. KCI Citation Count: 10 |
---|---|
Bibliography: | G704-000329.2010.42.1.007 |
ISSN: | 0250-3360 2287-51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