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한문과목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연구

정보의 관계를 살펴보고 파악한 내용을 가공하는 인포그래픽은 교육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학습효과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한문 과목 관련 인포그래픽 국내 연구는 전무하다. 덧붙여 한문 교사들은 시각적 콘텐츠 부족으로 수업 준비에 부담감을 겪고 있으며 학생들은 한문 과목을 지루하며 배우지 않아도 되는 비주류과목으로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등한문 과목 학습효과를 증진하는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한문 과목의 시각 콘텐츠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안한 디자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5; no. 2; pp. 243 - 260
Main Authors 여주은, Yeo Ju Eun, 조성환, Jo Seoung Hw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5.2.1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정보의 관계를 살펴보고 파악한 내용을 가공하는 인포그래픽은 교육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학습효과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한문 과목 관련 인포그래픽 국내 연구는 전무하다. 덧붙여 한문 교사들은 시각적 콘텐츠 부족으로 수업 준비에 부담감을 겪고 있으며 학생들은 한문 과목을 지루하며 배우지 않아도 되는 비주류과목으로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등한문 과목 학습효과를 증진하는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한문 과목의 시각 콘텐츠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안한 디자인은 중등한문 교과서 내 소단원 내용을 정리하는 인포그래픽으로 3D 기법 중 비전공자도 제작하기에 용이한 아이소메트릭을 활용해 주목도를 높였다. 그리고, 웹용과 인쇄용에 동시에 활용할 수 있고 콘텐츠 제작과정에서 어려움이 없도록 그래픽형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인포그래픽의 유형을 데이터의 특징과 형태의 특징에 따라 살펴보고 인포그래픽 디자인요소를 교육 목적의 그래픽형 인포그래픽 제작을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중등한문 과목의 수준과 상응하는 3사 한자 학습지의 디자인 현황을 살펴보고 인포그래픽 디자인 제안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셋째, 한문 과목을 이수한 중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인포그래픽 인지도, 학습 시 인포그래픽 사용 여부, 향후 학습 시 인포그래픽 사용의향을 조사한 후 직접 디자인한 6가지 시안을 바탕으로 인포그래픽 디자인선호도를 디자인요소별로 조사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와 디자인 현황조사를 통해 3가지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제안했으며, 디자인 컨셉과 차별성, 디자인요소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선호도 조사 후 한문 과목에서 사용이 전무한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제안해 시각적 콘텐츠 범위를 확장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해당 연구를 토대로 한문과목의 시각적 콘텐츠 연구가 지속될 것을 기대한다. Infographics, which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the processing of what is understood,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 education and have been shown to improve learning.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infographics in Chinese literature subjects in Korea. In addition, Chinese literature teachers are burdened with preparing lessons due to the lack of visual content, and students perceive Chinese literature subjects as boring and non-mainstream subjects that they do not need to lear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visual content in Chinese literature courses by proposing an infographic design that improves learning outcomes in secondary Chinese literature courses. The proposed design is an infographic that summarizes the content of a small unit in a secondary school textbook, and it uses isometrics. This 3D technique is easy for non-majors to create and increases attention. In addition, it is a graphical infographic that can be used for both web and print, and it is designed to eliminate difficulties in the content creation process. First, the research methodology examined the types of infograph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ata and form. It categorized the infographic design elements,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graphics.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design status of three Chinese literature teach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secondary literature subject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infographic design proposals. Third, 202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completed Chinese literature courses were surveyed about their awareness of infographics, whether they use infographics in their learning, their intention to use infographics in their future learning, and their preferences for infographic design based on six self-made prototypes. Finally, three infographic designs were proposed through the survey and design status survey, and the design concepts, differentiation, and design elements were summariz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scope of visual content by proposing infographic designs that have not been used in Chinese literature courses after surveying design preferences, and it is expected that visual content research in Chinese literature courses will continue based on this study.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3&idx=2575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5.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