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건곤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취미의 시각화 양상

20세기 초 발행된 한국 대중 잡지의 표지이미지는 변화된 소비 사회의 인식을 취득하고 근대적 시각성을 확립하는 역할이자 계몽적 주체로 내재된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근대에 등장한 취미의 개념은 문화적으로 생산된 산물인 잡지 표지이미지를 통해 시대가 추구하는 근대적 가치와 소비를 자연화하며 이데올로기를 함축한다. 본 연구는 1926년 창간한 취미 잡지인 ‘별건곤’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의 사례를 중심으로 근대의 취미가 어떠한 신화적 의미를 내포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취미의 시각적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경거리, 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2; pp. 339 - 354
Main Authors 이은주, Lee Eun J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2.2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20세기 초 발행된 한국 대중 잡지의 표지이미지는 변화된 소비 사회의 인식을 취득하고 근대적 시각성을 확립하는 역할이자 계몽적 주체로 내재된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근대에 등장한 취미의 개념은 문화적으로 생산된 산물인 잡지 표지이미지를 통해 시대가 추구하는 근대적 가치와 소비를 자연화하며 이데올로기를 함축한다. 본 연구는 1926년 창간한 취미 잡지인 ‘별건곤’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의 사례를 중심으로 근대의 취미가 어떠한 신화적 의미를 내포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취미의 시각적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경거리, 관광을 통해 여가를 즐기는 여성, 소비와 취미를 즐기고 사색과 낭만을 누리는 모던걸 등의 취미생활에 대한 진취적이고 근대적 여성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은 취미의 영역에서 독립적이며 개인의 취향을 즐기는 서구화된 인물이자 흥미와 오락의 대상으로 타자화된 이중적 변모로 나타났다. 둘째, 동물은 이국적 관람과 취미의 대상이자 계몽의 주체로서 신화화되었다. 동물은 근대적 계몽의 주체로 상징화되거나 이국적이고 박제된 그림처럼 관람을 위한 대상으로 사물화되었다. 셋째, 자연은 생업에 관련되거나 풍경이 아닌 관광, 휴양, 유람의 근대적 소비공간으로 재구성되었다. 넷째, 스포츠, 유흥, 오락거리 등의 여가 활동은 근대 소비 문화와 부르주아적 취미 활동에 대한 이상적 주체로 재현되었다. 이를 통해 근대 ‘별건곤’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은 여성, 동물, 자연, 여가 활동을 중심으로 취미의 근대성을 획득하는 신화화된 주체로 상징화되고 함축된 의미를 내재함을 알 수 있다. The cover images of Korean popular magazine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embody the inherent meaning of enlightening subjects who play a role in acquiring the perception of the changed consumer society of modern times and establishing a modern visuality.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hobbies that emerged in modern times naturalizes modern value and consumption and encompasses ideology through magazine cover images, which are culturally produced products. This study analyzes the mythological meaning inherent in the hobby of modern times, focusing on the case of illustrations on the cover of Byeolgeongon, a hobby magazine that started publication in 1926. The visual aspects of hobbies that emerged are as follows: First, they showed images of modern women who were progressive and modern, concerning their hobbies, for example, women enjoying leisure through attractions and tourism, enjoying consumption and hobbies and modern girls enjoying contemplation and romance. However, women appeared as dual aspects, e.g. Westernized figures who were independent and enjoyed their personal tastes in the field of hobbies, and as the others who became the objects of interest and entertainment. Second, animals were mythicized as exotic spectacles and objects of hobbies, as well as enlightening subjects. Animals were symbolized as the subjects of modern enlightenment or objectified as objects for viewing, such as exotic and stuffed pictures. Third, nature was restructured as a modern consumption space for tourism, vacation, and sightseeing, rather than something related to livelihood or scenery. Fourth, leisure activities such as sports, entertainment, and amusement were reproduced as ideal subjects for modern consumption culture and bourgeois hobbies.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yeolgeongon cover illustrations of modern times are symbolized as mythicized subjects that acquire the modernity of hobbies with women, animals, nature, and leisure activities as the center and embodies inherent meanings.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76&idx=2362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4.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