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의‘파괴-창조’의 변증법 - 창작 수단으로서의 예술파괴 행위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미술작품 창작자의 관점으로부터 예술파괴 행위가 현대미술에서 새로운 창작 수단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시도함으로써 작품 창작에 관한 새로운 개념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동시대 미술에서 파괴의 표현이 상당히 익숙해졌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가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드문 가운데, 예술파괴의 결과가 또 다른 예술작품을 생산하는 것이라면 우리에게 작품 파괴의 권리가 있다는 주장은 현대의 미술 창작 활동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진술은 예술작품의 창작과 이를 대하는 우리의 사고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5; pp. 565 - 57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1.10.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4.5.37 |
Cover
Summary: | 이 논문은 미술작품 창작자의 관점으로부터 예술파괴 행위가 현대미술에서 새로운 창작 수단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시도함으로써 작품 창작에 관한 새로운 개념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동시대 미술에서 파괴의 표현이 상당히 익숙해졌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가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드문 가운데, 예술파괴의 결과가 또 다른 예술작품을 생산하는 것이라면 우리에게 작품 파괴의 권리가 있다는 주장은 현대의 미술 창작 활동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진술은 예술작품의 창작과 이를 대하는 우리의 사고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술파괴는 과거의 ‘성상파괴’나 ‘반달리즘’과는 그 목적에서 뚜렷한 구분을 보이며, 본 연구는 다리오 감보니의 논제 중에서 전통적 사고의 파괴, 물질로서의 작품의 파괴, 신체 형상의 파편화와 작가 신체의 작품화로 크게 구분하여 새로운 창조성에 대한 모색이라는 관점에 집중하였다. 연구자는 이것을 데리다의 해체철학의 의미와 내용에서 착안하여 ‘파괴-창조(창작)의 변증법’이라고 명명하고, 이에 해당하는 구체적 작품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대미술에 있어서 미술의 창작 프레임 변화, 새로운 예술적 가치의 창출, 예술개념과 영역의 확장 등에 끼친 유의미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방법은 동시대의 사례 제시와 분석을 그 기반이 되는 ‘비-조각’ 이론과 신체 파괴 및 비물질적 신체 행위를 통한 논증의 절차를 밟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현대미술의 창작에 있어서 예술파괴 관련 연구의 추가 발전을 위한 참조 텍스트를 제공하는 동시에, 현재 또는 미래의 작품 창작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로부터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뉴미디어아트의 가상현실 체험과 인공지능 예술 등의 영역에서도 파괴를 통한 창작의 논의가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pursue an innovative concept on artistic creation by attempting the investigation of the point that the impact of material art destruction functions as a means of creation in an artist’s position in contemporary art. Although destructive expression in art has been observed often, the theoretical reconsideration is rarely found in comparison with other parts of contemporary art. At this point of a view, a claim that a right of art destruction is given to us if it bears another creation of art works, provides us many implications, because such a statement can change greatly our thinking. This sort of art destruction differs itself from the conventional ‘Iconoclasm’ or ‘Vandalism.’ This research focuses, therefore, on the ‘reconstruction’ or ‘creativity’ based on Dario Gamboni’s thesis of art destruction, exemplifying six representative works on art destruction, artist’s body destruction, and de-artification, focusing on material art destruction used as a means of creation in modern art. . Also, the term ‘Dialectic of destruction-creation’ coined for this viewpoint inspired by a French philosopher Jacques Derrid, whose concept and aim of destruction have oriented not to destroy but reconstructi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he suggestion of the specific examples of art destruction in current art fields before discussing the theoretical discourse on ‘non-sculpture,’ accentuated by an American art historian and art critic, Rosalind Krauss, as well as ‘non-material’ or performance art utilizing human body, particularly exemplified in the works of Marc Quinn and Marina Avramovic. Their art works or performance will take a significant role to enhance the main topic of this research. The impact of in on contemporary art has three aspects. First, changed the creative paradigm of traditional art and enriched the means of art creation. Second, it is to increase the artistic value of the work to some extent. Third, the boundaries of art are ambiguou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theoretically provide a reference text for further development of art destruction-related research and provide guidance for the creation of current or future works of art. Also,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roaden the discussion on the artistic creation through destructive acts in the fields of virtual reality in the new-media art or AI art which are excluded in this paper.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4.5.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