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대동맥류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 이후 발생한 제1형 내부누출의 조영증강 초음파 검사 증례보고
본 연구는 복부대동맥류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Endovascular Aneurysm Repair, EVAR) 후 발생한 제1형 내강누출(Type Ib Endoleak)을 미세혈류영상(Superb Micro-vascular Imaging, SMI)과 조영증강 초음파(Contras t-Enhanced Ultrasound, CEUS)를 이용하여 진단한 증례를 보고한다. 대상 환자는 79세 남성으로, EVAR 시술 후 복부에서 촉진되는 박동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는 1.30 mg/dL로, 정상 참고치(0...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 18; no. 7; pp. 853 - 86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방사선학회
30.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0620 2384-0633 |
DOI | 10.7742/jksr.2024.18.7.85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복부대동맥류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Endovascular Aneurysm Repair, EVAR) 후 발생한 제1형 내강누출(Type Ib Endoleak)을 미세혈류영상(Superb Micro-vascular Imaging, SMI)과 조영증강 초음파(Contras t-Enhanced Ultrasound, CEUS)를 이용하여 진단한 증례를 보고한다. 대상 환자는 79세 남성으로, EVAR 시술 후 복부에서 촉진되는 박동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는 1.30 mg/dL로, 정상 참고치(0.7 - 1.2 mg/dL)상 경계선에 해당하였다. 내강누출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SMI와 CEUS를 시행한 결과, SMI에서 graft 내로 미세혈류가 관찰되었으며 CEUS에서 좌측 limb graft 하방에서 유입되는 조영제가 관찰되어 제1형 내강누출로 진단되었다. EVAR 이후 발생하는 내강누출의 조기 진단과 평가는 동맥류 재팽창 및 파열 예방에 있어 필수적이다. 본 증례는 미세기포 기반 CEUS가 전산화단층촬영에 사용되는 요오드성 조영제로 인한 부작용 우려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내강누출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CEUS는 특히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내강누출 진단에 있어 유용한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We report a case of a Type Ib endoleak detected following endovascular aneurysm repair (EVAR) for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diagnosed via Superb Micro-vascular Imaging (SMI) and contrast-enhanced ultrasound (CEUS). A 79-year-old male patient, who had previously undergone EVAR, presented with a palpable pulsatile abdominal mass. His serum creatinine level was 1.30 mg/dL, which was at the upper limit of the normal reference range (0.7-1.2 mg/dL). To evaluate for a possible endoleak, SMI and CEUS were performed. SMI demonstrated subtle microvascular flow within the graft, whereas CEUS revealed contrast agent inflow distal to the left limb graft, consistent with a Type Ib endoleak. Early detection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of endoleaks are crucial to prevent aneurysm sac re-expansion and potential rupture. This case underscores the efficacy and safety of microbubble-based CEUS in endoleak evaluation, particularly for patients with suboptimal renal function, as it obviates the need for iodinated contrast agents used in computed tomography. CEUS therefore represents a valuable alternative diagnostic modality for endoleak assessment in selected populations. |
---|---|
Bibliograph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ISTI1.1003/JNL.JAKO202402143201038 http://koreascience.kr/journal/BSSHB5.page |
ISSN: | 1976-0620 2384-0633 |
DOI: | 10.7742/jksr.2024.18.7.8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