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콤 간 마이크 신호 경로 제어를 위한 Electret Microphone 연동 회로 설계
항공기 인터콤 장비는 조종사, 부조종사를 포함해 항공기 내의 승무원을 포함한 기내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항공기 개조개발 사업에서 인터콤을 개발할 경우 추가되는 통신장비 또는 항전장비를 기존 인터콤과 헤드셋을 연동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개발하는 인터콤은 항공기 헤드셋 마이크를 입력받고, 기존 인터콤에 마이크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이 필요하며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품질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마이크 신호 생성회로를 구성했으나 신호 품질이 불량하여 인터콤 설계반영이 불가하다 판단했다. 마이크 신호 생성회로 자...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8; no. 3; pp. 309 - 314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항행학회
30.06.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9026 2288-842X |
DOI | 10.12673/jant.2024.28.3.309 |
Cover
Summary: | 항공기 인터콤 장비는 조종사, 부조종사를 포함해 항공기 내의 승무원을 포함한 기내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항공기 개조개발 사업에서 인터콤을 개발할 경우 추가되는 통신장비 또는 항전장비를 기존 인터콤과 헤드셋을 연동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개발하는 인터콤은 항공기 헤드셋 마이크를 입력받고, 기존 인터콤에 마이크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이 필요하며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품질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마이크 신호 생성회로를 구성했으나 신호 품질이 불량하여 인터콤 설계반영이 불가하다 판단했다. 마이크 신호 생성회로 자체의 문제를 없애기 위해 부하효과를 고려한 마이크 신호 브릿지 회로를 구성했고, 기능 및 품질 측정 결과 요구사항에 부합하였다. 본 논문은 마이크 신호 생성회로 및 브릿지 각각의 구성에 대해 제작 및 신호품질에 대한 시험 결과를 검토한다.
Avionics Intercom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pilot, co-pilot and crews in aircraft. In the case of developing intercom in the aircraft modification development project, additional communication equipment or avionics equipment is configured to link the existing intercom with the headsets. Newly designed intercom needs a configuration that receives an aircraft headset microphone and transmits a microphone signal to the existing intercom, and these signals are required to perform signal quality above a certain level.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microphone transmitter circuit has designed and tested, but quality factors of signal were not suitable. In order to avoid the issue, eliminate transmitter and apply signal bridge circuit considered with load effect, and it meets requirements. In this paper, the test results for the signal quality for each configuration are reviewed. |
---|---|
Bibliography: | 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KISTI1.1003/JNL.JAKO202421243331500 |
ISSN: | 1226-9026 2288-842X |
DOI: | 10.12673/jant.2024.28.3.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