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항공기 광학 탐지 장치 성능 개선을 위한 합성 이미지 활용 연구

본 연구는 야간 환경에서 발생하는 조명과 노이즈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저감하고, 적외선 탐지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AI 기반 이미지 복원 기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가시광선 이미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조명 조건과 ISO 값을 반영한 합성 이미지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딥러닝 모델(AutoEncoder 및 U-Net)을 활용하여 원본 이미지 복원 성능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Multi-ISO 모델(9채널)이 Single-ISO 모델(3채널)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다양한 ISO 값을 활용한 입력 데이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28; no. 5; pp. 650 - 656
Main Authors 정상규, Sang Gyu Jeong, 권나은, Na Eun Kwon, 김형우, Hyung W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항행학회 31.10.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9026
2288-842X
DOI10.12673/jant.2024.28.5.65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야간 환경에서 발생하는 조명과 노이즈에 의한 이미지 왜곡을 저감하고, 적외선 탐지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AI 기반 이미지 복원 기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가시광선 이미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조명 조건과 ISO 값을 반영한 합성 이미지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딥러닝 모델(AutoEncoder 및 U-Net)을 활용하여 원본 이미지 복원 성능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Multi-ISO 모델(9채널)이 Single-ISO 모델(3채널)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다양한 ISO 값을 활용한 입력 데이터가 이미지 복원 성능을 향상시킴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데이터 수집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합성 데이터를 통해 AI 모델을 효과적으로 학습시키고, 이미지 복원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AI를 활용한 광학 탐지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s an AI-based image restoration technique to reduce image distortion caused by lighting and noise in nighttime environments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frared detection systems. A synthetic image dataset was constructed using visible light images under various lighting conditions and ISO settings, and deep learning models (AutoEncoder and U-Net) were trained to assess image restoration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ulti-ISO model (9-channel) outperforms the Single-ISO model (3-channel), especially when utilizing input data with multiple ISO valu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I models can be effectively trained using synthetic data, even when real data collection is challenging, and can be applied to image restoration task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optical detection systems through AI-based technology.
Bibliography:THE KOREA NAVIGATION INSTITUTE
KISTI1.1003/JNL.JAKO202432740687242
ISSN:1226-9026
2288-842X
DOI:10.12673/jant.2024.28.5.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