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초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억제 효능 규명

본 연구는 국내 자생 한약 원료인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S. polyrhiza)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 그 기전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70% 에탄올로 추출한 부평초를 마우스 유래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에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 μg/mL 농도의 부평초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65.26%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tyrosinase의 활성과 발현이 농도에 따라 감소함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멜라닌 유도 전사 인자인 MITF의 발현 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大韓化粧品學會誌 Vol. 51; no. 2; pp. 125 - 132
Main Authors 차화준, Hwa Jun Ch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화장품학회 30.06.2025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587
2288-9507
DOI10.15230/SCSK.2025.51.2.12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국내 자생 한약 원료인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S. polyrhiza)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 그 기전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70% 에탄올로 추출한 부평초를 마우스 유래 B16F10 멜라닌 형성 세포에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 μg/mL 농도의 부평초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65.26%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tyrosinase의 활성과 발현이 농도에 따라 감소함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멜라닌 유도 전사 인자인 MITF의 발현 감소가 확인되어, 부평초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억제효과를 발현시키는 기전은 해당 전사 인자의 조절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부평초 추출물이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유망함을 시사하며, 향후 한약 원료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부평초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가능성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며, 한약 원료의 기능성 평가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of Spirodela polyrhiza (S. polyrhiza), a native herbal medicine ingredient in Korea, and to elucidate its mechanism. We analyzed the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by treating mouse-derived B16F10 melanin-forming cells with S. polyrhiza extracted with 70% ethanol.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 200 μg/mL concentration of S. polyrhiza extract inhibited melanin p roduction by 65.26%, which correlated with a concentration-dependent reduction in both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tyrosinase. Moreover, the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 key transcription factor regulating tyrosinase, was also suppressed, suggesting that the anti-melanogenesis effect of the S. polyrhiza extract is mediated through the reg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activi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S. polyrhiza extract as an effective anti-melanogenesis agent and suggest its possible future application as a novel functional material for skin anti-melanogenesi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possibility of inhibiting melanogenesis of S. polyrhiza and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functionality of herbal ingredients.
Bibliography: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519961204511
http://dx.doi.org/10.15230/SCSK.2025.51.2.125
ISSN:1226-2587
2288-9507
DOI:10.15230/SCSK.2025.51.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