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MUM-T 운용 시스템 분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국방기술과 통신설비 기반 5G MUM-T 체계의 운용개념을 정립하고, 5G MUM-T 체계 및 운영의 선도국인 미국 정부 기술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의 현황을 진단한다. 그리고 5G MUM-T 체계의 운용고도화를 위해서는 무기체계 세부 분류에 전투용 로봇·드론 반영, 저궤도 5G 위성통신 조기 도입, 실증·검증에 5G 특화망 및 도매제공 이용의 확대, 국방 AI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방사법 무기체계의 3분류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는 6G MUM-T, 6G NTN 기술진화에 대응하고 중국, 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국방기술학회 논문지 Vol. 5; no. 2; pp. 10 - 16
Main Authors 김병운, Byungwoo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국방기술학회 30.06.2023
사단법인 한국국방기술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65-5598
2765-6187
DOI10.52682/jkidt.2023.5.2.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국방기술과 통신설비 기반 5G MUM-T 체계의 운용개념을 정립하고, 5G MUM-T 체계 및 운영의 선도국인 미국 정부 기술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의 현황을 진단한다. 그리고 5G MUM-T 체계의 운용고도화를 위해서는 무기체계 세부 분류에 전투용 로봇·드론 반영, 저궤도 5G 위성통신 조기 도입, 실증·검증에 5G 특화망 및 도매제공 이용의 확대, 국방 AI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방사법 무기체계의 3분류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는 6G MUM-T, 6G NTN 기술진화에 대응하고 중국, 독일, 영국, 일본 등의 국가별 정책사례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establishes the operation concep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fens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facility-based 5G MUM-T system, and diagnoses our current situ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US government technology policy, which is a leading country in 5G MUM-T system and operation. And to advance the operation of the 5G MUM-T system, reflect combat robots and drones in the detailed classification of weapon systems, early introduction of low-orbit 5G satellite communication, expansion of the use of 5G specialized networks and wholesale provision for demonstration and verification, establishment of a defense AI governance system, Suggests the necessity of a 3-class method for radiological weapon systems. For future research, it is important to respond to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6G MUM-T and 6G NTN and compare and analyze each country's policy cases, such as China,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Bibliography:THE KOREAN INSTITUTE OF DEFENSE TECHNOLOGY
KISTI1.1003/JNL.JAKO202324043305625
http://journal.kidet.or.kr/archive/view_article?pid=jkidt-5-2-10
ISSN:2765-5598
2765-6187
DOI:10.52682/jkidt.2023.5.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