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헥산아마이드세린올의 피부 당화 억제에 의한 항염 및 항노화 효능 연구

에틸헥산아마이드세린올(C₁₁H₂₃NO₃)은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성분으로 허가 받은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글리옥살 용액에 의해 자극된 인간 각질형성세포(NHEKs)와 3D 인공피부모델(Native Skin TM)에서 에틸헥산아마이드세린올이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의 축적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AGEs-RAGE signaling 억제를 통해 피부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주요 사이토카인 IL-6, IL-1β, TNF- α의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MMP-1 발현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大韓化粧品學會誌 Vol. 51; no. 2; pp. 115 - 123
Main Authors 최은비, Eun Bi Choi, 정유라, Yu Ra Jung, 박묘현, Myo Hyeon Park, 박부만, Bu-mahn Park, 황정환, Jeonghwan Hwang, 박미영, Miyoung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화장품학회 30.06.2025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587
2288-9507
DOI10.15230/SCSK.2025.51.2.11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에틸헥산아마이드세린올(C₁₁H₂₃NO₃)은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성분으로 허가 받은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글리옥살 용액에 의해 자극된 인간 각질형성세포(NHEKs)와 3D 인공피부모델(Native Skin TM)에서 에틸헥산아마이드세린올이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의 축적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AGEs-RAGE signaling 억제를 통해 피부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주요 사이토카인 IL-6, IL-1β, TNF- α의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MMP-1 발현을 감소시키고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에틸헥산아마이드세린올이 세포 내 AGEs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당화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피부 염증 및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항당화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thylhexanamide serinol (C₁₁H₂₃NO₃) i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recognized for its anti-wrinkle efficac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mul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was suppressed in human keratinocytes (NHEKs) and 3D artificial skin models (NativeSkin™) stimulated by glyoxal solutions. This effect was associated with the suppression of AGEs-RAGE signaling, leading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L-6, IL-1β, and TNF-α. Furthermore, ethylhexanamide serinol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and enhanced collagen synthesis. Coll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thylhexanamide serinol alleviates glycation-induced stress in the skin and may serve as a promising anti-glycation cosmetic agent for the prevention of skin inflammation and aging.
Bibliography: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519943203456
http://dx.doi.org/10.15230/SCSK.2025.51.2.115
ISSN:1226-2587
2288-9507
DOI:10.15230/SCSK.2025.51.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