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재킷 제작을 위한 30세~49세 남성 상반신 특성 및 체형 유형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성인 남성의 상반신 체형 데이터 분석을 통해 체형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여 최근의 남성 체형 특성을 반영한 의복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사이즈코리아의 제 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 데이터 자료의 30세~49세 성인 남성 956명이 대상이며 상반신 직접측정치 및 계산치 50항목을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키를 포함한 높이와 길이 항목에서 개인차가 낮게 나타났으며 몸무게, 두께, 둘레, 너비항목 등은 개인차가 높게 나타났다. 높이항목...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2; pp. 1 - 1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4.2.1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성인 남성의 상반신 체형 데이터 분석을 통해 체형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여 최근의 남성 체형 특성을 반영한 의복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사이즈코리아의 제 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 데이터 자료의 30세~49세 성인 남성 956명이 대상이며 상반신 직접측정치 및 계산치 50항목을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키를 포함한 높이와 길이 항목에서 개인차가 낮게 나타났으며 몸무게, 두께, 둘레, 너비항목 등은 개인차가 높게 나타났다. 높이항목과 길이항목의 허리 기준선이상 항목은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둘레항목은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목둘레 및 목밑둘레와 손목둘레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허리두께는 35세~39세에서 두꺼워지기 시작하여 45세~49세까지 동일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엉덩이와 겨드랑이 관련 항목은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체간부 수평 크기’, ‘체간부 높이 및 상지 길이’, ‘어깨 크기’, ‘상체 길이’의 4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키가 크고 비만하며 어깨와 상체길이가 평균 수준인 체형, 키가 작고 왜소한 체형, 키와 상체가 평균 정도이며 가슴이 넓고 허리가 두꺼운 체형, 키와 상체가 평균 수준이나 어깨가 크고 등길이가 짧은 체형의 4유형으로 분류 되었으며, ‘키가 크고 비만한 체형’은 연령대 전체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여 30세~49세 남성을 대표하는 체형이다. 또한 5개 산업체 재킷 사이즈 분석을 통해 재킷에 제작에 필요한 여유량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체형 유형별 재킷 사이즈 스펙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ategorize body typ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upper body type data of adult men in Korea. The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lothing production that reflects recent male body type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56 adult men aged 30 to 49 years of data from Size Korea’s 8th Korean Human Dimension Survey Project, and 50 items of direct upper body measurements and calculation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dividual differences were low in height and length items including height, and individual differences were high in weight, thickness, circumference, and width items. Items above the waistline of height and length items decreased with age, and circumference items tended to increase with age, but neck circumference, neck circumference, and wrist circumference decreased with age. The waist thickness began to thicken in the late 30s and remained the same until the late 40s, but items related to hips and armpits decreased with ag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were derived: ‘horizontal size of the torso’, ‘height and upper limb length of the torso’, ‘shoulder size’, and ‘upper body length’.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re were four types: tall, obese, average shoulder and upper body length, short and small, average height and upper body, wide chest and thick waist, and average height and upper body but short back length. The ‘tall and obese body type’ has the highest distribution in the entire age group, so it can be said to be the representative body type of adult men aged 30 to 49. In addition, the study also analyzed jacket pattern sizes of five industries to derive the amount of spare needed for jackets. Based on the results, jacket size specifications for each type of body type were presented.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76&idx=2336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