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성인에서 비만에 대한 수은과 ALT의 관련성 : 11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KNHANES 2005, 2008∼2017)
혈액 중금속과 비만 사이의 연관성은 많은 연구에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일관되지 않은 연구 결과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 연구는 2005년과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1년간 119,181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혈액 중금속 검사, 건강면접 자료, 건강검진 자료가 누락된 피험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모집단에 포함될 자격이 있는 1,844명(남성 972명, 여성 872명)으로 구성되었다. 비만과 복부 비만은 혈중 수은 증가(P<0.001) 및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증가...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 54; no. 3; pp. 192 - 20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30.09.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3544 2288-1662 |
DOI | 10.15324/kjcls.2022.54.3.192 |
Cover
Summary: | 혈액 중금속과 비만 사이의 연관성은 많은 연구에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일관되지 않은 연구 결과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 연구는 2005년과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1년간 119,181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혈액 중금속 검사, 건강면접 자료, 건강검진 자료가 누락된 피험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모집단에 포함될 자격이 있는 1,844명(남성 972명, 여성 872명)으로 구성되었다. 비만과 복부 비만은 혈중 수은 증가(P<0.001) 및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증가(P<0.001) 모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란요인들을 보정한 결과, 높은 ALT 수치와 가장 높은 삼분위수의 수은 수치에 동시에 해당되는 사람은 비만(오즈비 4.46, 95%, 신뢰구간 2.23∼8.90, P<0.001) 및 복부 비만(오즈비 5.36, 95%, 신뢰구간 2.57∼11.17, P<0.001)의 위험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은과 ALT의 상호 관계는 체질량지수(P for interaction=0.009)와 허리둘레(P for interaction=0.012)에 대해 각각 유의하게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상호 관계가 비만과 복부 비만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The association between heavy metals in the blood and obesity has been examined in many studies. However, inconsistencies have been observed in the results from these studi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19,181 participant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or 11 years in 2005 and between 2008 and 2017. The subjects with missing heavy metal blood tests, health interview data, and health examination data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1,844 individuals (972 men, 872 women) who were eligible for inclusion. It was found that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both blood mercury (P<0.001)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P<0.001). After adjusting the confounding factors, those with concurrent high levels of ALT and the highest tertile of mercury showed an increased risk of obesity (odds ratio 4.46, 95%, confidence interval 2.23∼8.90, P<0.001) as well as abdominal obesity (odds ratio 5.36, 95%, confidence interval 2.57∼11.17, P<0.001). The interrelationship of mercury and ALT with the parameters of body mass index (P for interaction=0.009) and waist circumference (P for interaction=0.012), respectively, have been observed to be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reciprocal relationship could contribute to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Copyright Ⓒ 2022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KISTI1.1003/JNL.JAKO202227754901330 |
ISSN: | 1738-3544 2288-1662 |
DOI: | 10.15324/kjcls.2022.54.3.1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