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치 기법이 적용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사례 연구 -표현 특징과 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글리치 아트 장르에 대한 비평과 논의를 체계적으로 이론화하고 이를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적용하여 표현기법에 따른 특징과 효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과 글리치에 대한 연구논문과 전문 서적, 웹 사이트를 활용한 이론적고찰과 2000년대 이후 등장한 글리치 표현기법이 적용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총 104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글리치는 비주얼 아트에서 표현매체에 따라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분류되었으며, 중첩, 압축, 훼손, 흐리기 기법으로 범주화되었다. 범주화된 기법을 토대로...
Saved in:
|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4; no. 2; pp. 501 - 515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3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8635 2713-5993 |
| DOI | 10.47294/KSBDA.24.2.36 |
Cover
|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글리치 아트 장르에 대한 비평과 논의를 체계적으로 이론화하고 이를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적용하여 표현기법에 따른 특징과 효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과 글리치에 대한 연구논문과 전문 서적, 웹 사이트를 활용한 이론적고찰과 2000년대 이후 등장한 글리치 표현기법이 적용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총 104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글리치는 비주얼 아트에서 표현매체에 따라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분류되었으며, 중첩, 압축, 훼손, 흐리기 기법으로 범주화되었다. 범주화된 기법을 토대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적용된 사례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표현 특징의 결과로 첫째, 중첩기법은 이중 혹은 다중노출의 중첩, 투명과 불투명의 반복 중첩, 그래픽 채널의 위치 이동에 의한 중첩, 추상적 이미지의 불완전한 중첩으로 나타나며, 역동성, 초자연적 기이함, 3차원적 공간감, 모호한 불명확성의 효과를 가진다. 둘째, 압축 기법은 늘어지거나 혼합된 부분적 압축, 상이한 비율 압축, 불연속적 거친 압축, 미완의 압축으로 나타나며, 초현실적 판타지와 긴장감의 효과를 가진다. 셋째, 훼손 기법은 완벽함의 훼손, 왜곡된 훼손, 낙서 훼손, 무작위적 픽셀 훼손, 최소 단위의 형태 픽셀화로 나타나며, 유희성, 무질서함, 불명확성, 가벼움의 효과를 가진다. 넷째, 흐리기 기법은 초점 흐리기, 배경 흐리기, 디지털 블러 필터의 적용, 거친 반복 붓터치로 나타나며, 몰입감, 역동성, 추상성, 의미의 유동성, 모호함의 표현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글리치에 대한 수용은 대중에게 새로운 미적 경험과 자극을 수반하고 오류를 창의적인 표현의 또 다른 방식으로 인식함으로써 새로운 표현확장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theorize the criticism and discussion of the glitch art genre and apply it to fashion illustration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technique. As for the research method and scope, a total of 100 fashion illustration wor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using research papers, professional books, and websites on fashion illustration and glitch, and the glitch expression technique that appeared after the 2000s. In visual art, glitches were classified into analog and digital depending on the medium of expression, and were categorized into overlapping, compression, damage, and blurring techniques.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applied to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categorical technique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first, the overlapping technique appears as overlapping of double or multiple exposures, repeated overlapping of transparency and opacity, overlapping by moving the location of graphic channels, and incomplete overlapping of abstract images. It has the effect of a sense of space and ambiguous uncertainty. Second, the compression technique appears as stretched or mixed partial compression, different ratio compression, discontinuous rough compression, and incomplete compression, and has the effect of surreal fantasy and tension. Third, the damage technique appears as damage to perfection, distorted damage, damage to graffiti, damage to random pixels, and pixelation of the minimum unit shape, and has effects of playfulness, disorder, uncertainty, and lightness. Fourth, the blurring technique appears as defocusing, blurring the background, applying a digital blur filter, and rough repetitive brush touches, and has an expression effect of immersion, dynamism, abstractness, fluidity of meaning, and ambiguity. In this way, the acceptance of glitches in fashion illustration will accompany the public with new aesthetic experiences and stimulation, and will be able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expansion of expression by recognizing errors as another way of creative expression. |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76&idx=2375 |
| ISSN: | 1598-8635 2713-5993 |
| DOI: | 10.47294/KSBDA.24.2.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