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방문환자의 동선구조에 따른 사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안내, 유도, 기명사인을 중심으로

공간의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종합병원 내부 환경의 정보량은 증가하면서 방문하는 환자들의 이동 동선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그래서 방문 환자들이 내부 사인에 대한 오류를 최대한 줄이면서 좀 더 쉽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합병원의 복잡한 동선에서 방문 환자의 길 찾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안내·유도·기명사인은 사인 시스템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방문 환자와 사인의 장소적 관계성이라는 측면에서 사인의 조형·시각적 요소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고 방문환자의 복잡한 동선에 따른 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Vol. 23; no. 3; pp. 177 - 191
Main Authors 오가기, Wu Jia Qi, 서희봉, Seo Hee B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30.06.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3.1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공간의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종합병원 내부 환경의 정보량은 증가하면서 방문하는 환자들의 이동 동선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그래서 방문 환자들이 내부 사인에 대한 오류를 최대한 줄이면서 좀 더 쉽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합병원의 복잡한 동선에서 방문 환자의 길 찾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안내·유도·기명사인은 사인 시스템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방문 환자와 사인의 장소적 관계성이라는 측면에서 사인의 조형·시각적 요소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고 방문환자의 복잡한 동선에 따른 효과적인 사인 시스템을 분석하고 공간 구조와 결합해 종합병원을 방문한 환자의 정보 인지 오류를 최대한 줄이는 사인 시스템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는 관련 서적, 선행연구 논문, 종합병원 진료의 특성과 사인 시스템의 개념, 종류에 관한 연구 자료를 활용한다. 둘째, 실증연구로는 서울지역의 종합병원 4곳을 선정한 뒤, 블루투스 기기를 활용하여 방문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한 동선을 기록하고 종합 병원 안내·유도·기명사인의 현황을 조사한다. 셋째,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방문 환자의 동선에서 나타나는 종합병원 사인 시스템의 문제들을 종합하여 사인 시스템의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인의 배치 위치는ᅠ방문 환자의ᅠ동선에ᅠ영향을ᅠ주기 때문에 연속성을 가져야하며 동선 유형에 따라 사인의 영향과 역할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종합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의 동선 구조를 기초로 하는 안내·유도·기명사인에 국한되며 앞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더 많은 공공공간 사인 시스템에 적용 시 도움이 되고자 한다. With the complexity of spatial function, the internal environment of general hospitals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the moving route of outpatients becomes more and more complex.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sign system that minimize the error of information recognition by outpatients through sign system cognition within the general hospital. For outpatients’ way finding in general hospital complex space-Announcement Sign, Guidance Sign, Identification Sign are important p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clude the modeling and visual elements of sign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te relationship between outpatients and sign system, analyze the effective sign system brought by the complex moving route of outpatients, combined with the spatial structure to minimize the information cognitive errors for out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First of all, literature research uses relevant books, advanced research papers, characteristics of general hospital’s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s and types of sign system. Secondly, the empirical study selected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use Bluetooth equipmen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nnouncement Sign, Guidance Sign, and Identification Sign from outpatients. Thir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put forward the design scheme to solve the problems of general hospital sign system arising in the moving route of outpati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ranged location of sign system can affect outpatients' moving route based on the type of outpatients moving route, and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sign system can be different.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specific sites in general hospitals and outpatients moving route structure, based on Announcement Sign, Guidance Sign, Identification Sign. Therefore, although the research is restricted, it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and offer help on sign systems when more public spaces use it.
Bibliography: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69&idx=2160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3.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