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디자인 구성요소와 소비자 감성 관계 분석 연구 -감성공학 수법에 의한 즉석 무설탕 차 음료를 중심으로
오늘날 중국에서 무설탕 차 음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브랜드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무설탕 차 음료의 패키지디자인도 빠르게 바뀌고 모방 현상이 나타나면서 브랜드의 인식과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디자인 표현 방식에서 벗어나 차별적이고 소비자 감성에 맞춘 패키지디자인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설탕 차 음료 라벨디자인의 감성구조를 파악하고 라벨디자인 구성요소와 감성 어휘 간의 관계를 탐구하여 디자이너가 소비자 감성에 부합하는 무설탕 차 음료의 라벨디자인을 하기위한 기...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5; no. 1; pp. 215 - 229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28.0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5.1.15 |
Cover
Summary: | 오늘날 중국에서 무설탕 차 음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브랜드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무설탕 차 음료의 패키지디자인도 빠르게 바뀌고 모방 현상이 나타나면서 브랜드의 인식과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디자인 표현 방식에서 벗어나 차별적이고 소비자 감성에 맞춘 패키지디자인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설탕 차 음료 라벨디자인의 감성구조를 파악하고 라벨디자인 구성요소와 감성 어휘 간의 관계를 탐구하여 디자이너가 소비자 감성에 부합하는 무설탕 차 음료의 라벨디자인을 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혼합한 연구 방법이다. 첫째, 설문조사와 요인분석을 통해 대표적인 감성 어휘를 추출했다. 둘째, 카드 분류법과 클러스터 분석법을 통해 샘플을 선정했다. 셋째, 수량화 이론 I류 방법을 이용해 라벨디자인 구성요소를 정량화했다. 넷째, SD 분석법을 이용해 감성 평가 실험을 진행했다. 다섯째,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감성 어휘와 라벨디자인 구성요소 간의 관계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신뢰도를 검증했다. 여섯째, 감성 어휘와 최적화된 디자인 요소 매핑 관계를 구축했다. 그 결과, 무설탕 차 음료 라벨디자인의 감성은 ‘특별한’, ‘고급스러운’, ‘부드러운’, ‘단순한’, ‘흥미로운’, ‘산뜻한’의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에 대해 그림, 서체, 컬러-수량, 컬러-주조색, 여백, 문자 점유율 등 디자인 특징에 따라 감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근거로 라벨 디자인의 구성요소와 소비자 감성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했다. 이는 디자이너가 소비자 감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디자인 요소 조합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바란다.
With the rapid growth of Sugar-Free tea beverage market in China today, the competition among brands is becoming fierce, and the package design has also changed rapidly. Among them, the emergence of imit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cognition and development of the br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et rid of the existing design expression and design a differentiated package that meets the sensibility of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motional structure of Sugar-Free tea beverage label design,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abel design components and emotional vocabulary,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ers to design labels that match consumers’ emotions. The research method is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irst,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was extra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factor analysis. Second, samples were selected through Card Sorting and Cluster Analysis. Fourth, the label design components were quantified by using Theory of Quantification I. Fifth, sensory evalu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SD analysis. Sixth, the relationship model between affective vocabulary and label design components was constructed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was verified. Seventh,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vocabulary and design components was constructed. As a result, the emotional of Sugar-Free tea beverage label is classified into six types: ‘special’, ‘high-grade’, ‘soft’, ‘simple’, ‘interesting’ and ‘refreshing’. For the components, it was found that different design features, such as picture, typeface, colour-quantity, colour-main color, blank, and character occupancy, have different effects on emotion, and illu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label design and consumer emotion. It would be possible to utilize this study as basic data that accurately reflects the sensibilities of consumers in the design work.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2&idx=2540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5.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