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숲길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본 연구는 숲길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학술정보포털(DBpia)을 검색기반으로 하여 숲길과 관련된 383편의 연구논문을 수집하였다. 이후 발표연도 및 학술분야로 정리하였으며, 제목과 초록을 기반으로 VOSviewer 프로그램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기능을 사용하여 연구영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숲길 관련 연구논문의 발표 건수는 1987년을 시작으로 점차 증가하였으며, 농수해양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발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영역을 파악한 결과, 1. 숲길 공간 유형별 현황조사·...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산림과학회지 Vol. 114; no. 1; pp. 73 - 83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산림과학회
31.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5.114.1.7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숲길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학술정보포털(DBpia)을 검색기반으로 하여 숲길과 관련된 383편의 연구논문을 수집하였다. 이후 발표연도 및 학술분야로 정리하였으며, 제목과 초록을 기반으로 VOSviewer 프로그램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기능을 사용하여 연구영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숲길 관련 연구논문의 발표 건수는 1987년을 시작으로 점차 증가하였으며, 농수해양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발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영역을 파악한 결과, 1. 숲길 공간 유형별 현황조사·숲길 이용에 따른 환경 영향 평가·복원 및 유지관리 기법, 2. 숲길 걷기 운동이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평가, 3. 숲길 자원 및 시설에 대한 지역주민과 이용자의 인식 평가, 4. 등산 인구 특성 및 등산용품 개발 및 적용 효과 검증의 총 4개의 연구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숲길 관련국내 연구의 발표연도를 5년 단위로 하여 각 연구영역의 핵심 키워드 출현 빈도를 확인한 결과, 과거에는 1번 연구영역에서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으나, 최근에는 2번 연구영역에서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등산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도 숲길 관련 연구의 중요성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숲길 환경을 보전·보호하면서도 이용자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융합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forest trails. We analyzed 383 research papers from the RISS and DBpia databases, categorizing them by publication year and academic field. Using the titles and abstracts, we condu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via VOSviewer to identify research domains. Results showed that publications on forest trails have increased in number since 1987, with the highest volume in Marine Agriculture and Fishery. Four main research themes emerged: (1) spatial analysi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echniques; (2) effects of forest trail-based walking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3) user and resident perceptions of forest trail resources and facilities; and (4) hik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untaineering products. Keyword frequency analysis with five-year intervals revealed that earlier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me (1), whereas more recent research prioritized theme (2). As hiking grows in popularity, research on forest trails is expected to expand. Continued convergent research is essential to preserving and protecting the forest trail environment while ensuring safe and efficient use for visitors.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ISTI1.1003/JNL.JAKO202510736010193 |
ISSN: | 2586-6613 2586-6621 |
DOI: | 10.14578/jkfs.2025.114.1.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