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융복합교육 기반 PJBL을 활용한 디자인 강의 사례연구 -‘디지털미디어그래픽스’강의를 중심으로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은 다양한 학제 간 통합교육을 통해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며, 디자인 강의에서도 이론과 실무를 겸비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방법이 더욱 필요해진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융복합교육 기반의 프로젝트 중심학습(Project Based Learning;PJBL) 강의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는 PJBL이 디자인 강의에서 활용된 사례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PJBL이...
Saved in:
|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Vol. 25; no. 2; pp. 435 - 451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30.04.2024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8635 2713-5993 |
| DOI | 10.47294/KSBDA.25.2.27 |
Cover
| Summary: |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은 다양한 학제 간 통합교육을 통해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며, 디자인 강의에서도 이론과 실무를 겸비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방법이 더욱 필요해진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융복합교육 기반의 프로젝트 중심학습(Project Based Learning;PJBL) 강의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는 PJBL이 디자인 강의에서 활용된 사례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PJBL이 적용된 ‘디지털미디어그래픽스’ 강의의 교육방법 효과와 활용방안을 고안했다. PJBL을 활용한 디자인 강의가 학생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 과정 및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이론적 요소와 실기 활동을 통합한 강의 방식을 구성했다. 문제 제시 및 파악, 디자인을 통한 학습 자료 수집 및 활용, 문제 해결에 따른 결과물 발표로 구성되었으며, 학생들은 결과물을 바탕으로 발표 및 피드백(학생 상호평가)을 가진 후, 최종적으로 전공에 관련된 전반적인 경험을 한 강좌에서 성취할 수 있도록 연구를 설계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통찰 및 제안을 기술한다. 첫째, 학습자는 이론에서부터 실기에 이르는 과정을 경험하며 실무 현장에서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향상된 창의력과 실무 능력으로 전통매체와 신매체의 융복합을 이루어내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한다. 셋째,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플랫폼에 대한 학습 프로그램 보완이 필요한 것이 확인된다.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사례를 토대로, 융복합교육 기반의 PJBL 디자인 강의 적용 사례가 이어져 발전해 나가길 기대한다.
Education for fostering creative talent is being implemented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various interdisciplinary fields, and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combine theory and practice are needed even in design classes. Based on this educational philosophy, this study developed a PJBL class based on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the communication design are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Project Based Learning(PJBL), which has recently been attempted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in design classes, and to present the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plan of the educational method by applying the PJBL teaching method to the 'Digital Media Graphics' subject of the Department of Design in the College of Arts. As a research method, PJBL was applied to design classes for elective major course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year,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education for the last two years after COVID-19. The effects and significance of this educational case were evaluat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learner's lecture evaluation. As a specific research method, first, understand 'print publishing media based on traditional visual design' and 'digital media used in new video medium design' and then understand the subject (understanding books and authors) to be designed, and produce results through design. Based on the results, after presentations and feedback (student mutual evaluation), the study was designed to achieve the overall experience related to the major in one course.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insights and suggestions were described. First, learner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design process in the field. Second, through improved creativity and practical skills, the learning goal was successfully achieved by achieving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and new media. Third, it seem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learning program for the educational platform provided by the university. Based on effective educational cases,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PJBL design classes based on convergence education will continue to develop. |
|---|---|
|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3&idx=2564 |
| ISSN: | 1598-8635 2713-5993 |
| DOI: | 10.47294/KSBDA.25.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