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Met 모델을 이용한 가로녹지대의 도시열섬 저감효과 - 청주시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세계적인 기후 위기와 도시화가 심화됨에 따라 도시열섬 현상이 가중되고 있으며, 가로녹지대는 이러한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Envi-Me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중고층 주거지역과 저층 주거지역 주변의 가로녹지대가 열섬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로녹지대는 네가지 유형으로, 녹지대가 없는 유형 1, 중앙 녹지대만 있는 유형 2, 보행로 녹지대만 있는 경우 유형 3, 그리고 중앙 녹지대와 보행로 녹지대를 모두 포함한 유형 4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가로중앙녹지대와 보행로의 녹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Vol. 53; no. 4; pp. 111 - 120
Main Authors 천홍쿤, Chen Hongkun, 박재민, Park Jae-m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3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1755
2288-9566
DOI10.9715/KILA.2025.53.4.1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세계적인 기후 위기와 도시화가 심화됨에 따라 도시열섬 현상이 가중되고 있으며, 가로녹지대는 이러한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Envi-Me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중고층 주거지역과 저층 주거지역 주변의 가로녹지대가 열섬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로녹지대는 네가지 유형으로, 녹지대가 없는 유형 1, 중앙 녹지대만 있는 유형 2, 보행로 녹지대만 있는 경우 유형 3, 그리고 중앙 녹지대와 보행로 녹지대를 모두 포함한 유형 4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가로중앙녹지대와 보행로의 녹지대가 있는 유형 4가 도시열섬 효과를 완화하는데 가장 효과적임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유형 4는 평균 지표 온도를 최대 4.4℃까지 저감시키며, 다양한 주거 유형에서 일관된 열환경 개선 효과를 보임으로써 가장 우수한 유형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가로녹지대는 가로와 보행자의 열 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주거 지역의 열섬 효과도 완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열섬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각기 다른 주거지역의 특성에 맞는 녹화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조경 및 도시 계획에 중요한 참고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가로녹지대의 수종 및 식재유형 등의 도시 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As the global climate crisis intensifies and urbanization progresses,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becomes more pronounced. Roadside green spaces are considered an essential mitigation method. This study utilized the Envi-Met program to analyze the impact of roadside green spaces in mid-rise and low-rise residential areas on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The green spac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ype 1 with no greenery, type 2 with a central green space only, type 3 with pedestrian green spaces only, and type 4 with both central and pedestrian green spaces. The results showed that type 4, which includes both central and pedestrian green spaces, was the most effective in mitigating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successfully lowering surface temperatures around roads and pedestrian paths. Type 4 also demonstrated the greatest ability to alleviate the heat island phenomenon across various types of residential areas, particularly in mid-rise residential zone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tailored greening strategies that can accommodat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s, thereby more effectively mitigating the heat island effect. This research provides critical reference material for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and aims to further explore the impact of various types of roadside green spaces on urban thermal environments in future studies.
Bibliography: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STI1.1003/JNL.JAKO202526236074551
ISSN:1225-1755
2288-9566
DOI:10.9715/KILA.2025.53.4.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