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경제 침체에 따라 지역 차원에서 신산업을 육성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신산업의 성장에 따른 공간패턴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포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신산업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우 불균등하게 분포하여 비수도권과 지역격차가 두드러졌다. 신산업의 공간분포는 정적인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보였으며, 특정 소수 지역을 중심으로 집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공간계량모형을 토대로 신산업 집적 요인을 파악한 결과, 지역 내 대학원생 수, 지역에서 기술창업...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 23; no. 2; pp. 125 - 146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경제지리학회
    
        30.06.2020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8968 2713-9115  | 
| DOI | 10.23841/egsk.2020.23.2.125 | 
Cover
| Summary: | 지역경제 침체에 따라 지역 차원에서 신산업을 육성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신산업의 성장에 따른 공간패턴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포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신산업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우 불균등하게 분포하여 비수도권과 지역격차가 두드러졌다. 신산업의 공간분포는 정적인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보였으며, 특정 소수 지역을 중심으로 집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공간계량모형을 토대로 신산업 집적 요인을 파악한 결과, 지역 내 대학원생 수, 지역에서 기술창업기업이 차지하는 비중, 지역별 초·중·고등학교 수, 지식기반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의 특화도와 산업구조 다양성, 고용밀도가 신산업 분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비수도권 내 신산업 육성을 위해서 고급인재 유인 및 양성과 지역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지방의 신산업 육성을 위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foster new industries at the local leve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s of new industries in Korea from 2007-2017 and to figure out its determinants of agglomeration in 2017.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new industries are unevenly distributed around Seoul Metropolitan Area(SMA). The regional disparity between SMA and non-SMA is prominent. Furthermore, new industries represent a strong spatial positive autocorrelation, showing a strong concentration on a few regions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on agglomeration of new industries with spatial statistical model. From the results of spatial error model, it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s, the ratio of technology based start-ups, and the numbe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w industries. In addition, the specialization and the diversity of industrial structure on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ies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non-SMA needs policies with respect to attracting talented people, developing human resources, and improving reg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promoting new industries. | 
|---|---|
| Bibliography: |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KISTI1.1003/JNL.JAKO202020550932847  | 
| ISSN: | 1226-8968 2713-9115  | 
| DOI: | 10.23841/egsk.2020.23.2.125 |